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OASPA · DOAJ · COPE · WAME, 학술 출판의 투명성 지침 및 모범사례(제3판) 공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8-03-05 00:00:00.000
내용 오픈액세스학술출판사협회 (OASPA), 오픈액세스저널디렉토리 (DOAJ), 출판윤리위원회 (COPE), 세계의학잡지편집자협회 (WAME)의 4개 기관이 공동으로 “ 학술출판의 투명성 지침 및 모범사례 ( 제 3 판 )” 를 공개했다 . 이 지침은 이들 4 개 단체가 회원자격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의 기반을 형성하게 된다 . 참고로 이 외에 각 단체별로 추가적인 고유 기준을 갖고 있다 . 각 단체의 회원이 지침 및 모범 사례에 위배되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 각 단체는 회원과 협동으로 그 사항을 처리하여야하며 , 회원이 그 문제를 해결하지 않을 경우 회원 자격이 일시 정지 및 해제될 수 있다 . 이번에 공개한 것은 제 3 판 (2018.1) 으로 제 1 판 (2013.12) 과 제 2 판 (2015.6) 에 이어 진행되었다 . 투명성 원칙 16 개 항목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웹사이트 본문이 포함된 저널의 웹사이트는 높은 윤리적 및 직업적 기준을 보장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음을 입증해야 한다 . 다른 저널 / 출판사 사이트를 모방하려는 시도를 포함하여 독자 / 저자를 오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 독자 및 저자 , 출판을 위해 고려할 내용 , ISSN 등이 명확히 표시되어야 한다 . 2. 저널명 저널명은 고유한 것이어야 한다 . 다른 저널과 쉽게 혼동되거나 저널의 기원 또는 다른 저널과의 연관성에 대해 잠재적 저자 / 독자를 오도할 수 있는 이름이어서는 안된다 . 3. 동료심사과정 저널 내용에 대해 동료가 검토했는지의 여부를 명확하게 표기해야 한다 . 동료심사는 해당 저널의 편집직원이 아니라 개별 원고에 대해 해당 분야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얻는 것을 의미한다 . 동료심사정책과 관련된 모든 절차는 웹사이트에 명확하게 명시되어야 한다 . 4. 소유권 및 관리 저널의 소유권 및 관리에 대한 정보가 저널 웹사이트에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 출판사는 저널 소유주의 성격에 대해 잠재적 저자와 편집인을 오도할 수 있는 조직 및 저자명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 5. 집행기관 저널은 편집위원회와 기타 이사회를 두어야 하며 , 저널의 주제 분야에 있어 전문가로 인정되는 사람들을 소속 위원으로 둔다 . 6. 편집팀 및 연락처 정보 저널 웹사이트에 저널 편집인의 전체 이름과 소속 , 전체 주소를 포함하는 편집팀의 연락처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 7. 저작권 및 라이센스 저작권 정책은 저자 안내문과 모든 출판된 기사에 명명된 저작권 보유자에게 명확히 명시되어야 한다 . 마찬가지로 라이선스 정보도 웹사이트상의 가이드라인에 명확히 기재되어야 한다 . 8. 저자 비용 저널의 원고처리 및 출판에 필요한 모든 비용과 수수료는 잠재적 저자가 심사를 위해 원고를 제출하기 전에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곳에 명확하게 명시되거나 , 원고를 제출하기 전에 저자에게 명확하게 설명되어야 한다 . 만일 비용이 부과되지 않는다면 이를 명확히 기재하여야 한다 . 9. 연구부정행위의 확인 및 처리 출판사 및 편집인은 표절 , 인용 조작 및 데이터 변조를 포함하는 연구부정행위가 발생한 논문의 출판을 규명하고 방지하기 위해 합리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 어떠한 경우에도 저널이나 편집인이 그러한 비행을 장려하거나 그러한 비행이 의도적으로 허용되도록 해서는 안된다 . 연구부정행위가 발생하여 이를 처리할 때에는 출판윤리위원회 (COPE) 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 10. 출판윤리 저널은 출판윤리에 관한 정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출판윤리 정책은 웹사이트에 분명하게 명시되어야 하며 , 저자와 기여자 , 불만사항 처리방법 , 이해관계 상충시의 처리 , 데이터 공유 및 재생산 , 윤리적 감독 , 지적재산 등에 대한 저널 정책과 출판 후 논의 및 수정을 위한 저널 옵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 11. 출판일정 저널이 출판되는 주기가 명확하게 표시되어야 한다 . 12. 접근 독자가 저널 및 개별 기사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과 구독 또는 열람시 비용 (pay per view) 을 명시해야 한다 . 13. 아카이빙 저널이 더 이상 출판되지 않을 경우 전자적인 백업 및 저널 콘텐츠에 대한 접근방법 ( 예 : CLOCKSS 또는 PubMedCentral 을 통한 주요 기사 액세스 ) 에 대한 계획을 명확히 표시해야 한다 . 14. 수익원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원 ( 예 : 저자비용 , 구독료 , 광고 , 기관지원 등 ) 을 명확히 명시해야 한다 . 15. 광고 어떤 유형의 광고가 고려되는지 , 누가 광고수락 결정을 하는지 , 광고가 콘텐츠와 링크되는지 등 광고관련 정책을 명시해야 한다 . 광고는 어떤 방식으로는 편집상의 의사결정과 관계되어서는 안된다 . 16. 직접 마케팅 원고모집을 포함한 모든 직접 마케팅활동은 적절하고 대상이 명확하며 눈에 거슬리지 않아야 한다 . 출판사 또는 저널에 관한 정보는 독자 / 저자에게 오해의 소지가 없으며 진실해야 한다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8030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학술출판; 투명성; 모범사례 2. scholarly publishing; OASPA; Transparency; Best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