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핵융합 분야에서의 인재육성과 이해증진 방책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2-23 00:00:00.000
내용 I. 핵융합연구분야에서 인재육성ㆍ확보ㆍ활약촉진을 위한 방책 1. 체제강화 - 중점화된 연구시설에서의 연구에 젊은 연구자가 참가할 수 있도록 한다. - 중점화된 연구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전ㆍ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연구자가 소속기관에서 자신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연구개발에 따라 ITER 구축, BA 프로젝트팀, 원자력기구, 핵융합연, 대학 등 연구설비가 정비된 중핵기관에서 일정기간 체재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한다. - 포스트 닥터나 조수를 늘린다. - 핵융합을 연구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핵융합연구 포스트 닥터나 COE 연구원 채용을 매년 20~30명 정도 마련한다. - 실험예산이 삭감된다 해도 우선은 인재틀 확보가 필요하다. 그 후에, 적격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적절한 채용과정을 정비한다. - 대학이나 고등전문학교 등에 소형장치를 많이 정비한다. - 교육연구성과가 국립대학법인 등의 실적도 될 수 있도록 배려하고 활동에 필요한 교육연구자원을 준비하다. - 연구자로서 자립할 수 있는 커리어패스(핵융합프로젝트 참가 등의 핵융합연구연찬 기회부여)가 열려있는 점은 젊은 연구자나 박사과정 후기 대학원생이 핵융합연구를 지원하는 인센티브가 된다. - 플라즈마 발생ㆍ제어기술, 초전도기술, 고출력레이저 연구개발능력, 시뮬레이션 기능 등의 기초력을 몸에 익힌 젊은 연구자는 사회적인 수요도 있으며, 핵융합연구 추진에도 효과적이다. 2. 연계ㆍ협력 - 인재갹출의 모체확장을 위해서는 핵융합분야뿐만 아니라, 물리ㆍ공학분야도 포함해야만 한다. - 대학, 대학 공동 이용기관, 원자력기구가 연계하여 핵융합관련 교육연구조직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며, 동아시아 핵융합관련 기관도 포함한 핵융합국제교육연구 네트워크구축이 효과적이다. - 각종 핵융합 관련 장치군을 교육연구실험에 활용하고 대학원생, 젊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습프로젝트 등 실천적인 교육연구도 필요하다. - 아시아에 국제경쟁력 있는 핵융합교육연구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3. 일반시민으로의 보급ㆍ계몽활동 - 시민강연회 등도 도움이 되고 있으며 이들 성과는 10년 후, 20년 후에 나타날 것이다. Ⅱ. 핵융합연구가 사회와 국민으로부터 지지받기 위한 방책 1. 보급ㆍ홍보 - 우수한 성과를 내서 매스컴 등에서 높이 보도되도록 한다. - 핵융합계 전체로서의 홍보ㆍ공청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질적 개선이 필수적이다. - 매스컴ㆍ 이벤트 대응, 파급효과 선전, HP 확충, 초ㆍ중ㆍ고생을 대상으로 한 자유연구모집ㆍ작문모집활동, 여름방학 등을 이용한 공개강좌, 이동핵융합과학관과 같은 시설 정비 등을 하는 전문 섹션을 설치한다. -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한 과학잡지나 교육프로그램 등 대중매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일반대중에게 핵융합연구의 최전선을 알기쉽게 소개한다. - 시가지 간판광고, 지자체로의 적극적인 홍보활동 - 초ㆍ중ㆍ고교나 시민강연회는 핵융합연구를 일반인에게 널리 알리는데 공헌하고 있다. - 핵융합연구의 중요성을 기입한 광고를 ITER 등도 관련시켜 수차례, 전국 전철이나 신문에 싣는 것도 고려한다. - 대학원생이나 포스트 닥터가 지역의 초ㆍ중ㆍ고교수업에 참가하여 강의하는 것도 핵융합연구 홍보방법 중 하나이다. 이때, 실험의 위험성을 설명한 후에, 이러한 과학이 어떻게 인간의 생활을 뒷받침해 왔는지, 어떻게 관리하면 위험을 피할 수 있는지, 왜 이 연구를 지속하지 않으면 안되는 지에 대해 설명할 의무가 있다. - 핵융합을 특집으로 한 TV프로그램을 제작한다. 2. 성과발신 - 핵융합계는 우수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신한다. - 일반시민이 인지할 수 있도록 사회환원이 가능한 연구를 한다. 예) 항공기 젯트엔진 연비향상을 위한 고내열부하기술 산업응용을 목적으로 한 고강도ㆍ고반복 레이저 - 비교적 단기간에 사회로 환원할 수 있는 기술연구도 추진한다. - 핵융합연구가 사회와 국민으로부터 지지받으려면 ITER 및 BA에 관련된 연구교육이 타분야 발전에도 이바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3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