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에너지 장기수급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8-21 00:00:00.000
내용 1. 에너지 수급 전망의 배경과 목적 ○ 이번에 책정된 '2030년 전망'에서 '신·국가에너지전략'에서 제시된 목표 달성을 위해 '에너지기술전략'에서 예로 든 최첨단 에너지기술의 진전·도입의 효과가 최대한 발휘된 경우에 예상되는 에너지 수급구조의 모습을 전망해 봄 ○ '신·국가 에너지 전략'에서 제시한 장기적인 수치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의 정량적인 분석을 근거로 한 에너지 수급 구조를 검토 - 수요면 :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 운수 부문의 에너지 차세대화 - 공급면 : 원자력 이용 추진, 신에너지 도입 촉진, 석유 의존도 저감 2. 전제 조건 가. 경제의 순조로운 성장 ○ 경제 성장률 : 2005~2010년 2.1%, 2010~2020년 1.9%, 2020~2030년 1.2% ○ 에너지 고가격 시대 계속: 원유가 2020년 $90/bbl, 2030년$100/bbl ○ 본격 보급이 상정되는 최첨단 기술을 최대한 도입 나. 2030년까지 '신·국가에너지전략'에서 제시한 목표를 달성 ○ 적어도 30% 이상의 에너지효율 향상, 운수부문의 석유의존도를 80% 정도로 하고, 원자력발전 전력비율은 30~40%정도 이상, 석유의존도 40% 미만으로 축소 ○ 2020년에 에너지효율 30% 개선 목표 3. 케이스 설정 이번 장기 에너지 수급 전망에서는 에너지기술의 진전과 도입에 기초하여 다음 3가지 케이스에 대한 추계를 실시 가. 현상 고정 케이스 ○ 현상(2005년도)을 기준으로 하여 향후 새로운 에너지기술이 도입되면, 기기의 효율화가 일정하게 추이한 경우를 상정. 내용(耐用)년수에 따라 오래된 기기가 현상(2005년도)레벨의 기기로 대체되는 효과만을 반영한 케이스임 ○ 장래 시점에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된 경우의 효과를 적절하게 반영시키기 위한 산정 기준 나. 노력 계속 케이스 ○ 지금까지 효율개선에 노력해 왔던 기기·설비에 대하여 기존기술의 연장선상에서 향후에도 계속해서 효율개선의 노력을 하여 내용(耐用)년수를 맞이하는 기기와 순차적으로 대체되어 가는 효과를 반영한 케이스 ○ 주로 현재 톱 러너 제도(Top-Runner, 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 가전제품이 나오면 일정 기간을 두고 나머지 제조사들이 모두 그 수준까지 도달하도록 한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고 있는 가전, 자동차와 더불어 주택·건축물에 대하여 향후에도 개선노력을 계속한 경우에 실현하는 모습임 ○ 가전제품에 대해서는 톱 러너제도 등을 활용하여 효율개선을 계속함으로써 2020년까지 새로 구입되는 제품의 모두가 현재 최고수준의 효율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 자동차도 기존 자동차에 대하여 톱 러너기준의 착실한 이행이 이루어질 것으로 상정 다. 최대 도입 케이스 ○ 실용단계에 있는 최첨단기술로 고비용이지만 에너지절감 성능의 가일층 향상이 예상되는 기기·설비에 대하여 국민과 기업에 대해 갱신을 법적으로 강제하는 정책을 강구하여 최대한 보급시킴으로써 극적인 개선을 실현하는 케이스 ○ 장래 기대되는 시장규모를 전제로 기술적 잠재력의 최대치까지 효율개선을 예상한 기기·설비가 유사기기의 최대 보급 속도와 비용절감 등의 데이터를 감안하여 가장 빠르게 보급한 경우의 효과를 반영 4.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및 실현 대책 가.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최첨단 기술을 최대한 도입했을 경우, 최대 도입 케이스) ○ 유럽을 압도하는 에너지 효율의 지속적 실현 - 유럽위원회의 절감 목표에 손색이 없는 수준의 온실가스 절감 전망 ○ 에너지 효율(1차에너지 공급/GDP(석유 환산 톤/1,000 US$)): 0.11(2005년) → 0.08(2020년) lt;참고 gt;유럽 환경 이사회: 0.20(2005년)→0.13 (2020년) 2 ○ 온실 효과 가스총배출량: 1214백만t-CO 2 (2005년 총배출량비 ▲11%, 1990년 총배출량비 ▲4%) - 에너지 기원 CO 2 : 1026백만t-CO 2 (2005년 대비 ▲13%, 1990년 대비 ▲3%) - 그 외 온실가스: 188백만t-CO 2 (2005년 대비 +2%, 1990년 대비 ▲1%) 나. 실현 대책 '최대 도입 케이스'를 위한 기술적 잠재력의 최대한까지 기기·설비 효율을 개선해, 이러한 제품을 갱신시에 최대한 도입하려면, 지금부터 2020년까지 약 52조엔의 사회적 부담이 필요 ○ 기업(25.6조엔) - 공장(3.7조엔) : 세계 최첨단 에너지 절약 기술을 최대한 지속 도입 · 업종마다 최첨단 기술을 도입 : 철강, 화학, 요업 토석, 종이·펄프 등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한 각 업종에 대해, 갱신시 모두 세계 최첨단 기술 도입 · 고효율 설비 도입 - 사무실 등(17.2조엔) : 톱 러너 제도, 그린 IT 등에 의한 최첨단 에너지 절약 기기의 급속한 보급 ·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 기기(라우터): 고효율인 서버(에너지 절약율 약 20%), 스토리지(에너지 절약율 80%), 에너지 절약형 네트워크 기기(에너지 절약율45%) 보급 · 조명: LED·유기 EL조명 보급 · 산업용·업무용 공기조절·급탕기 · 단열성 등의 에너지 절약 성능 향상: 가장 어려운 기준을 만족시키는 신축 증가 · 자동차 : 차세대 자동차의 가속적 보급과 인프라 정비(수소 스탠드, 충전 설비의 보급 등) - 발전소 등(4.7조엔) · 원자력 추진 · 화력발전의 고효율화: IGCC 등의 고효율 발전 도입 · 깨끗한 전원 구성 ○ 가정(26.7조엔) - 주택(12.2조엔) : 단열성 등 에너지 절약 성능 향상, 태양광 패널 설치 · 가장 어려운 기준을 만족시키는 신축 급증 · 태양광 패널 보급 - 가정의 기기·설비(8.8조엔) : 톱 러너 제도, 그린 IT 등에 의한 최첨단 에너지 절약 기기의 급속한 보급 · 텔레비전 등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 플라스마, 유기 EL로의 이행 · 형광등, 냉장고, 가정용 에어컨 등 : 현재의 최고 수준으로 향상 · 급탕기·코제너레이션 : 고효율 급탕기(히트 펌프, 잠열 회수형), 코제너레이션(연료 전지 포함)의 보급 - 자동차(5.7조엔) : 자동차 연비 개선과 차세대 자동차 보급 · 자동차 연비의 계속적 개선 · 차세대 자동차의 가속적 보급 (1대 당 150만엔의 추가 부담 증가) 5. 전략목표와 에너지기술 가. 에너지 소비효율 개선 ○ 기술적 잠재력이 최대한까지 기기·설비효율을 개선하여 이들 제품을 경신시에 최대한 도입함으로써 세계 최고수준의 에너지효율을 달성함 - 산업계의 대처 5,900만kl ·철강, 화학, 요업토석, 종이·펄프 등의 에너지 다소비 산업을 중심으로 한 각 업종에서 경신 시에는 모두 세계 최첨단의 기술을 도입 · 혁신적 발전기술도입으로 발전효율을 약 3% 개선 - 가정·오피스의 대처 7,100만kl ·모든 브라운관TV가 액정·플라즈마, 유기 EL 등으로 이행 ·구입되는 모든 IT기기를 고효율 제품으로 함 ·주택·빌딩의 단열성 등의 에너지절감 성능의 가일층 향상 ·기타 가전·업무기기의 가일층 효율 개선 - 운수부문의 대처 2,900만kl ·자동차의 연비의 지속적 개선 ·차세대 자동차의 보급 가속(신차판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2030년에는 70%를 목표로 함) 나.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량 전망 ○ 산업부문 - 세계 최고수준의 에너지절감 노력을 지속·강화함 - 과거 15년간 에너지 소비량은 미미하게 증가하였으나, 향후 15년간 에너지 소비량을 약 2%, 향후 25년간 약 3%를 절감함 - 향후 25년간 계속해서 세계 최첨단의 고효율설비의 도입 보급과 함께 폐기물·바이오매스의 도입을 통한 화석연료 대체를 추진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함 ○ 업무부문 - 에너지 원단위를 향후 15년간 약 10% 정도, 25년간 약 15% 개선, 에너지 소비량도 15년간 약 3%, 25년간 약 7%를 절감함 ○ 가정부문 - 에너지소비의 증가를 반전시킴 - 과거 15년간 세대당 에너지 소비량이 약 8% 증가, 에너지 소비량전체도 약 30% 증가(1인당 에너지 소비량도 약 30%증가)하였으나, 향후 25년간 가전의 에너지효율의 비약적 개선과 더불어 세대수의 증가의 둔화 그리고 감소에 대한 반전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시킴 ○ 운수부문 - 과거 15년간 연비향상이 진전되었지만, 대수 자체의 증가와 대형화에 의해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 향후 25년간은 기존 자동차의 연비개선과 더불어 차세대 자동차의 가속적 보급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시킴 ○ 운수부문의 에너지 차세대화 - 차세대 자동차의 도입, 연료다양화, 연비의 개선, 교통대책을 추진함으로써 운수부문에서의 석유의존도를 축소 - 차세대 자동차 도입으로 인한 에너지절감 효과를 석유의존도 축소로 계상하면, 운수부문의 석유의존도는 2005년의 약 100%에서 2030년에는 약 80%가 될 것으로 보임 ○ 원자력 이용 추진 - 안전을 대전제로 한 원자력발전의 추진을 통해 2030년도 경에 발전전력량에서 차지하는 원자력발전의 비율을 30~40% 정도 이상으로 함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등 고효율 발전설비의 도입을 통해 발전효율 약 3% 향상 - LNG와 석탄의 가격차가 더욱 확대될 전망인 가운데에서도 공급안전성을 고려하며 CO 2 배출량의 억제를 위해 최대한, 전원의 운용방법의 조정을 위한 노력함 ○ 신에너지 도입 촉진 - 신에너지 산업의 자립을 지향하며 도입확대를 도모함으로써 2020년·2030년까지 각각 현재의 약 2배, 3배의 도입·보급을 위해 노력함 - 이러한 노력을 통해 수력·지열발전을 더한 재생가능에너지는 2030년도의 최대 도입 케이스에서는 1차에너지 국내 공급의 11.1%를 차지 6. 시산 결과 가. 최종에너지 소비 ○ 최종소비 합계(산업, 민생, 운수부문 합계)를 보면, 현상 고정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4억 4,900만kl, 2030년도에는 4억 6,900만kl를 기록할 것으로 보임 ○ 노력 계속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4억 1,600만kl, 2030년도에는 4억 1,200만kl가 될 것으로 보임. ○ 최대 도입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3억 9,000만kl, 2030년도에는 3억 6,500만kl가 될 것으로 보임. 나. 1차에너지 공급 ○ 석유, LPG,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수력, 지열, 신에너지 등 1차에너지 국내 공급량을 보면, 현상 고정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6억 5,100만kl, 2030년도에는 6억 8,500만kl로 전망 ○ 노력 계속 케이스에서는 2030년도에 6억 100만kl, 2030년도에는 6억 100만kl로 전망 ○ 최대 도입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5억 6,100만kl, 2030년도에는 5억 2,600만kl로 전망 다. 에너지기원 CO 2 배출량 ○ CO 2 배출량 합계(산업, 민생, 운수부문)를 보면, 현상 고정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12억 7,500만t, 2030년도에는 13억 4,800만t으로 전망 ○ 노력 계속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11억 4,400만t, 2030년도에는 11억 3,200만t으로 전망 ○ 최대 도입 케이스에서는 2020년도에 10억 2,600만t, 2030년도에는 8억 9,700만t으로 전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2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