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스마트 윈도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나노입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9-10 00:00:00.000
내용 미 에너지부의 아르곤 국립 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의 연구진은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스마트 윈도우를 개발했다. 이 스마트 윈도우는 나노입자로 만들어지는데, 이번 연구진은 이런 나노입자를 기존 방법에 비해서 5 배 더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했다. 미국 건물은 비효율적인 창문으로 에너지의 약 30%가 누출됨으로써 매년 420억 달러의 비용을 지불한다. 열 변색성 스마트 윈도우는 겨울에는 적외선 에너지를 통과시켜서 건물을 따뜻하게 유지하고 여름에는 적외선 에너지를 차단하여 건물을 차갑게 유지한다. 나노입자 기반의 바나듐 이산화물 박막은 저온과 고온에서 태양 변조 수치(solar modulation value)를 약 2 배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태양 변조는 저온과 고온에서 제어될 수 있는 태양 에너지의 양이다. 열 변색성 기술은 수십 년 동안에 산업적인 관심을 불러왔지만 높은 비용과 제한적인 성능 때문에 많은 적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열 변색성 물질 중에 나노입자 형태의 바나듐 이산화물은 스마트 윈도우를 위한 최고의 물질이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바나듐 이산화물 나노입자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연속 순환식 공정(Continuous flow processing)은 유럽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는 기술로서 에너지 효율과 재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잠재적으로 위험한 고온 및 고압 조건이 필요 없다. 배치식 생산 공정은 2~3일이 소요되고 수동 원료 투입 및 추출이 필요하다. 그에 비해서 이번에 개발된 방법은 단지 몇 분 안에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균일한 크기의 나노입자를 생성할 수 있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존의 창문은 적외선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154℉에 도달해야 한다. 텅스텐을 포함하는 바나듐 이산화물 나노입자를 함유한 윈도우는 77℉에서 임계 전이 온도를 가진다. 이번에 개발된 연속 순환식 공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5 배 이상 저렴하게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마트 윈도우 시장은 2014년에 10억 달러에 달하고 2021년에 약 3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나듐 이산화물 열변색 기술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나노입자의 크기가 100 나노미터에서 15 나노미터 또는 20 나노미터까지 감소해야 한다. 작은 나노입자는 큰 나노입자보다 두 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 번째는 더 적은 빛을 산란해서 윈도우 필름을 더 투명하게 만든다. 두 번째는 적외선 열을 더 잘 변조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제조 공정은 모든 종류의 나노입자 제조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나노입자 활용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4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스마트 윈도우; 나노입자; 에너지; 바나듐 이산화물 2. smart window; nanoparticle; energy; vanadium diox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