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보건의료 데이터 보안을 위한 바이오인증 시장 성장 전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8-24 00:00:00.000
내용 IT 시장조사 기관인 Verified Market Intelligence社의 조사에 따르면 보건의료 데이터 보안 및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로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19.1%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同 시장은 2016년 12억 달러 규모에서 2025년 57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부문에서 성장속도를 빠르게 하는 요인으로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개인정보 유출과 신원정보 도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부문에 재정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 비접촉 바이오인증 시스템의 이용이 용이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주요 보건의료 부문 사업자들이 바이오인증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은 높은 구축비용, 높은 유지비용, 그리고 바이오인증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의 보안 위협 등을 들 수 있다. Verified Market Intelligence社에 따르면,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시장에 주요 벤더들은 Fujitsu, 3M Cogent, DXC Technology, NEC, Lumidigm, Morpho, Imprivata, Suprema, Bio-key International, 그리고 Zkteco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다른 IT 시장조사기관인 MarketsandMarkets社가 실시한 작년 조사에서도 이번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는데, 즉 2021년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은 19.2%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해당 보고서는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시장이 2016년 12억 달러 규모에서 2021년에 29억 달러로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북미 지역의 보건의료 바이오인증 시장은 2021년까지 20.2%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보고서의 저자들은 미국이 1996년 제정한 의료 정보 보호법(HIPAA,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규정을 어기는 보건의료 기관들은 막대한 과징금을 부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북미 지역에서 변화하는 규제 환경으로 인해 규제 준수를 위해 효과적인 보안 대응방안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저자들은 지적했다. 미 표준기술연구소(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바이오인증을 지문, 홍채, 또는 얼굴 특성 등과 같은 신체적 특징을 측정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바이오인증은 시설 보안, 컴퓨터 네트워크 및 데이터 접근 보안, 사기 대응, 국경 검문, 범죄 대응 등에 사용되고 있다. NIST는 보다 효과적인 바이오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바이오인증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사례는 아래와 같다. o 서로 다른 기업에서 구축한 바이오인증 시스템과 상이한 조직 사이의 바이오인증 데이터의 공개 교환 o 어떻게 바이오인증 시스템이 테스팅 되는지, 그 결과를 어떻게 계산하고, 보고하여 해당 시스템의 성능이 다른 시스템의 성능과 비교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이드 o 수집된 바이오인증 데이터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 정의 o 바이오인증 시스템의 상호연동(interoperability) NIST는 바이오인증 시스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수요뿐만 아니라 전체 기업 이용자의 수요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시스템의 구조적 디자인 등을 포함하여 고려해야 한다. 이용자 중심의 바이오인증 프로세스를 도입하는 것은 최종 사용자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고 NIST는 덧붙였다. 바이오인증은 데이터 보안 및 접근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2중 인증(two-factor authentication)의 일환으로 사용될 수 있다. username과 password를 바이오인증과 결합하면 병원과 여타 의료기관들이 데이터 유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연구진은 병원에서 IT 보안통제에 있어 접근통제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IT 예산에 대한 연구를 언급하며 조직에서 연방정부의 이니셔티브에 부합하기 위해 거의 모든 IT 예산을 투입하고 보안에는 5%만 투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41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 바이오인증 2. Healthcare; Data Protection; Biome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