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자폐증 생애 초기에 변화를 보이는 사회적 뇌 연결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3-01 00:00:00.000
내용 스위스 제네바 대학(UNIGE)의 과학자들이 자폐성 장애아에서 사회성 신호에 대한 반응을 지배하는 뇌의 초기 변화를 찾아내고 있으며, 이 연구는 뇌가소성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유효한 자폐증 초기 단계에서 새로운 치료적 중재(intervention) 방법을 열어주는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아는 발달 과정에서 목소리, 얼굴, 몸짓 등의 사회적 신호에 응답한다. 그리고 유아의 뇌는 이런 신호를 번역하는데 특화된 뇌 네트워크 영역을 발달시킨다. 하지만 향후 자폐스펙트럼장애(ASD)로 진단되는 유아를 관찰할 때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은 이런 사회적 신호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이다. 제네바 대학의 연구팀은 이 현상이 초기 발달 단계에서 뇌의 사회성 영역의 정상적인 발달이 어떻게 방해를 받는지 보여준다. 이 연구 내용은 eLife를 통해 발표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이처럼 중요한 생애 초기에 사회적 신호에 대응하는 유아의 능력을 목표로 중재 치료를 한다면 여전히 가소성이 큰 시기에 뇌를 재연결하여 그 영향을 낮출 수 있음을 시사한다. UNIGE 연구원 홀거 스퍼딘에 따르면, ASD를 가진 유아가 사회적 신호에 더 낮은 선호도를 보임에 따라 움직이는 사회적 신호 이미지를 보여주었을 때,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탐색하는 경로와 사회성 신호를 처리하는 뇌 네트워크 처리 방식 등 두 가지 경로에서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유아와 비교해서 다른 점을 보인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뇌파검사(EEG)라고 불리는 전기생리학적 모니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유아의 뇌 활동을 연구했으며, 강력한 시선 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을 담고 있는 영화를 볼 때 시선을 관찰했다. 그 결과 ASD가 있는 경우 정상적인 유아와 다른 시선 패턴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으며, 뇌 신경세포의 연결 및 정보 흐름이 변화한 것과 함께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팀은 ASD가 있는 경우 두 가지 특정 주파수의 뇌파(알파파와 세타파)에서 ldquo;증가된 신호(increased driving) rdquo;가 나타나며 특정 영역에 있는 신경세포 사이에 높은 수준의 연결성이 보인다는 것을 관찰했다. 세타파와 그 영향을 받는 뇌 영역은 모두 lsquo;사회적 뇌(social brain) #39;를 구성하는 주요한 요소이고 알파파는 시각적 주의력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는 ASD가 있는 유아의 시각적 탐색에서 보이는 차이가 사회적 뇌의 핵심 영역 간의 연결성에서 보인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첫 번째 증거를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이 주파수를 생성하는 뇌 영역이 정상적인 아동에 비해 다르게 발달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마리 쉐어 교수는 이번 연구가 ASD를 가진 유아나 취학 전 아동이 사회적 신호를 처리하는 것과 관련된 뇌 영역에서 정보 흐름에 변화가 있음을 최초로 보여준 사례라고 결론을 내리면서 사회적 뇌의 영역 안에서 일어난 변화는 ASD의 매우 초기에 나타나고 추가 연구를 통해 이 가설을 정당화할 경우 치료적 중재를 통해 사회성에 관한 기술을 향상시켜 뇌 가소성이 여전히 활발한 결정적인 시기에 사회적 뇌 발달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38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 뇌;뇌 가소성;발달 장애 2. ASD;social brain;brain plasticity;developmental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