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2008년 CES 쇼의 첨단 제품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1-14 00:00:00.000
내용 라스베이거스는 이제 막 끝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전자 제품 전시회인 Consumer Electronics Show(CES)가 열리는 곳이다. 35개 미식 축구 경기장 넓이에서 총 2700여 전시회가 수천 개의 하이테크 전자기기와 서비스를 전시한다. 이 전시회는 미래의 첨단 기술의 전시장일 뿐 아니라 이 기술이 주류 시장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돕게 된다. 1967년 이래로 이 CES는 기술 개발자들과 제조자들이 자신들의 최신 기술을 전시하는 무대의 역할을 해왔다. 이 무역 전시회는 1970년에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를, 1981년도에 CD 플레이어를, 1991년도에 플라즈마 텔레비전을 처음으로 세계에 소개했다. CES에는 14만 명의 참가자들이 관람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초정밀 자동차 내비게이션에서부터 무중력 마사지 의자까지 수천 개의 제품들과 시제품들이 선보일 것으로 기대되었다. 애플사의 아이포드와 관련 제품들, 닌텐도사의 Wii 게임 플랫폼, 구글사의 웹서비스 쇼가 할리우드 스타일의 블록버스터처럼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들 있었다. 기술 경향 전문가인 브라이언 쿨리는 2008 년CES의 특징은 이전의 것들보다 결코 덜 혁명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혁명적인 기술들에는 스스로 운전하는 자동차, 진동을 이용하여 불면증을 돕는 지능적인 침대, 이를 닦으면서 텔레비전을 볼 수 있는 거울, 똑똑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이 있었다. 그는 “자동차 창문에 달아서 인터넷을 수신할 수 있는 GPS 내비게이션도 나왔어요. 이 시스템으로 인터넷 서치를 할 수 있고 식당이나 상점을 쉽게 찾아갈 수 있죠”라고 말했다. 쿨리는 이외에 첨단 제품들이 많이 있다고 말했다. 월풀사가 만든, 아이팟이나 컴퓨터 등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만든 새로운 냉장고도 나왔다. 그리고 휴대 전화로 인터넷을 통하여 조종할 수 있는 감시 로봇과 컴퓨터처럼 더 많은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도 있다. 쿨리는 “인터넷으로부터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텔레비전에 고화질로 볼 수 있는 기기들을 보았어요”라고 말한다. 무선(와이어리스)은 금년에 큰 화두였다. 또다른 분석가 드류 크래즈니는 필립스사의 HD TV를 예로 들었다. 그는 “이 TV에는 깔끔한 테두리로 되어 있어요.스피커는 보이지 않죠. 소리는 TV의 옆과 뒤에서 나옵니다” 라고 말했다. 그는 이 회사가 자신의 암바 사운드 기술로 수많은 상을 수여받았다고 말했다. “암바 사운드는 실제로 서라운드 음향을 흉내낸 것입니다. 그래서 이 홈시어터 시스템에서는 무선으로 방안에 보이지 않는 소리를 쏘는 평판 TV 아래에 완벽하게 들어맞는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CES 쇼의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이 쇼가 새로운 기술들을 탑재한 제품들의 등장 무대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예로서 그는 레노보 사의 최신 얼굴 인식 기술을 들었다. “우리의 얼굴을 패스워드처럼 사용할 수 있죠. 컴퓨터에 로그인하기 위해 얼굴을 사용할 수 있어요. 저는 이 기술에 참 놀랐습니다. 이것이 무슨 의미일까요. 은행이나 식료품점 등에서 우리는 이제 얼굴만 들이밀면 된다는 것이죠”라고 그는 말했다. 거의 모든 제품이나 기기들이 일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어떤 것들은 이를테면 380센티미터 크기의 화면을 가진 플라즈마 TV들은 상업용이 아닌 것 같다. 그는 “어는 누구도 이 제품을 필요로 하지 않죠. 이거는 너무 커요. 그러나 아주 돈이 많은 소수의 사람들이 필요로 할지도 모르죠” 라고 말했다. *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01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