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우주에서의 생명자연과학 연구 평가 위원회와 시너지 – 유럽우주국은(ESA)사용자의 동기에 의한 우주 연구와 유럽 과학자들과 이들의 국제적인 협력자가 생명과학과 자연과학 분야의 중요한 목적을 성취할 기회를 지원한다. 극미중력 연구에서 유럽의 탁월성을 계속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 우주국은 탄탄한 기초과학 분야에서 우주 실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ELIPS(European Research in Life and Physical Sciences in Space: 우주에서의 생명 자연과학 유럽 연구 ) 프로그램은 꼭 필요하며 유럽우주국은 2008년 11월 장관 회담에서 제안된 ELIPS3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총괄팀(topical teams )은 새로 드러나는 분야별 주제를 성공적으로 키우고 ELIPS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럽과학자들의 네트워크를 준비하는 역할을 한다. 극미중력 응용 장려(Microgravity Application Promotion: MAP ) 프로젝트는 유럽전문가들이 팀을 이뤄 복잡한 현상을 깊이 있게 연구할 독특한 기반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태양계 탐험에 관한 새로운 프로그램은 ISS활용과 ELIPS를 낭비하지 않고 이루어져야 한다. 학제간 연구영역의 토대와 발생 생명과 자연과학을 포함해서 ELIPS 프로그램에서는 분야를 넘나드는 토론과 활동이 명백하며 여러 분야 사이의 많은 시너지가 존재한다. 생물학 - 생물학 워킹그룹은 새로운 토대를 규정했다. 새로운 토대는 흔히 다루어지는 특정한 문제와는 달리 공통적인 내재적인 기본적인 과학적인 물음에 초점을 맞춘다. 생리학 – 생리학 워킹그룹은 2005년 유럽과학재단 보고서에서 강조한 주제를 토대로 미래연구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주생리학 연구의 본질 은 전체 기관 체제(whole- organ system)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요구한다. 극미중력생리학 에선 전체 신체를 통합하는 생리학이 필수다. 현재 ESA프로그램의 가장 큰 강점은 연구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 잠재성이다. 인간의 우주여행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시도되는 많은 연구는 지구상에서 응용 가능성이 있다. 전신생리학 연구는 대규모의 복잡한 자료를 만들어내고, 이것은 인간 생리학의 장기적인 연구와 결합해 자료분석과 처리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요구한다. 행성간 탐험을 고려하는 미래 계획은 부분 중력 환경/인공 중력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필요로 한다. 극미중력 하에서의 생리학 연구는 생리체계를 탐사할 독특한 도구를 제공하여, 다른 방식으로는 얻을 수 없는 새로운 자료를 생성한다. 우주생물학 – 우주국의 생명과학 프로그램은 30년 이상 우주생물학(전에는 exobiology 라고 부름)의 역사적인 근거였다. 우주생물학 그룹은 우주국내에서 인간의 우주 비행에서 나온 ExoMars와 MSR(Mars Sample Return Mission)을 과학로봇 탐사 위원회 로 이전하는 결과로 우주생물학의 조정(coordination)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염려를 나타냈다. 우주생물학워킹그룹은 ELIPS와 Aurora Core 프로그램 사이의 과학 기술적인 분명한 시너지 가능성을 보았다. 콜럼버스 모듈과 ISS의 이용가능성은 저지구궤도(Low Earth Orbit)에서의 미래 우주생물학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다. 심리학 – 화성 임무는 여행의 거리와 지속기간을 고려할 때, 인간 탐험의 역사에서 전혀 새로운 것이다. 장거리, 자동화된 생명유지 시스템, 고립과 제한(confinement)의 정도, 응급상황이 있을 때 바로 구조될 가능성의 결핍 같은 조건하에서 인간의 적응에 관한 현재의 지식은, 아주 제한적이다. 기초물리학 – 기초물리학 연구 목적은 세가지로 나뉜다. (1) 연구중인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 연구 (2) 전문지식을 다른 기초연구분야와 응용연구분야로 이전하고 (3) 산업 응용을 위해 전문지식을 이전하는 것이다. 유체물리학과 연소 – 미래의 활동에 대해, 그리고 유체물리학과 연소연구활동을 좀 더 효율성 있게 하기 위해 우주국에 여러 가지 권고가 이루어졌다. 우주에서의 유체와 연소 과학은 중력이 줄어든 환경에서 유동체의 움직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유동체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료과학 – 재료과학에서의 기본연구는 응용연구를 위한 필수적인 전제요건이다. 그러나 정의상 재료과학 분야는 응용을 지향하도록 되어있다. 40개 이상의 기업이 ESA-MAP 연구 프로그램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그 증거다. 극미중력의 지원을 받는 재료과학은 본질적으로 미래의 인간의 우주 사명을 위해 필요한 재료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오로라프로그램에 기여한다. 개발중인 ISS 핵심 설비 가운데 중요한 한 가지는 전자기 물체부양장치(Electromagnetic Levitation: EML )다. 재료 연구분야에서 ISS 설비 중 중요한 또 한가지는 재료과학실험실(Materials Science Laboratory: MSL )이다. 목차 요약 1부. 평가 틀 2부. ELIPS 프로그램의 성취 3부. 생명과학 4부. 물리학 5부. 공통성과 시너지 6부.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