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및 화산분화예지를 위한 관측연구계획의 추진에 대하여 (건의)의 개요
기관명 | NDSL |
---|---|
작성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작성일자 | 2008-07-18 00:00:00.000 |
내용 | 지진예지연구는 1965 년 , 화산분화예지연구는 1974 년에 시작되었고 당시의 문부성측지학심의회 ( 현재 과학기술·학술심의회 ) 가 건의한 계획에 따라 대학과 관계기관이 협력·연대하여 현재도 종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현행 2 가지의 5 개년 계획 ( 지진·화산 ) 이 2008 년까지 종료됨에 따라 2007 년에 실시상황 등 리뷰 및 외부평가를 실시하였다 . ○ 지진예측연구의 성과 - 지진발생에 이르는 모델 「 Asperity Model 」의 유효성 검증이 진전되었다 . - 판 경계 지진에 대하여 동해로부터 서남일본에 걸쳐 있는 필리핀해 판 심부경계에서 단기적 느린 움직임과 저주파 미동이 동시발생함을 발견하였다 . - 내륙지진의 발생준비과정에 대하여 지각·맨틀의 불균질한 점탄성·소성변형에 의해 광역응력이 특정의 단층영역에 집중해 가는 기구 ( 機構 ) 의 이해가 진전되었다 . - 일본열도지역의 지각활동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의 원형이 완성되어 지진발생에 이르는 과거의 거대지진발생 사이클의 특징이 재현되었다 . ○ 화산분화예지연구의 성과 - 「 2004 년 아사마산 분화」에서는 다 ( 多 ) 항목 관측에 의한 화산체의 마그마 관입 등 분화의 전구적인 변동파악에 성공하였다 . - 마그마 공급계·열수계가 모델화된 화산에서는 관측 데이터로부터 분화에 앞서 유체이동의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 - 활동적 화산에 대해서 활동도 파악에 근거한 화산활동레벨 ( 현재는 분화경계레벨 ) 이 도입되었다 . ○ 계획추진의 기본적인 생각 본 계획에서는 「예측 시스템 개발」을 보다 명료하게 지향한 연구에 중점을 두어 이하의 4 항목을 주로 하여 추진한다 . 1. 「지진·화산현상예측을 위한 관측연구」 - 모니터링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켜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진 ·화산현상의 추이예측을 하기 위한 예측 시스템을 개발한다 . 2. 「지진· 화산현상해명을 위한 관측연구 」 - 예측 시스템의 기초가 된다 . 3. 「새로운 관측기술의 개발」 - 지진·화산분화예지에 도움이 된다 . 4. 「계획추진을 위한 체제의 강화」 - 계획을 한층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체제의 정비 및 관측연구 프로젝트를 입안·추진하기 위한 크게 열려있는 구조의 정리를 꾀하고 성과를 사회에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 ○ 본 계획의 기본방침과 실시내용 1. 지진·화산현상예측을 위한 관측연구의 추진 지각과 맨틀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반 과정의 파악에 의해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의 데이터 동화에 근거한 지각활동의 예측 및 분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지각활동의 예측 - 지진·화산현상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고도화 - 지진·화산현상에 관한 예측시스템의 구축 - 지진·화산현상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2. 지진·화산현상해명을 위한 관측연구의 추진 지각과 맨틀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반 과정의 바른 이해와 그 모델화를 위한 기초적인 관측연구를 추진 - 일본열도 및 주변지역의 장기·광역의 지진·화산현상 - 지진·환산분화에 이르는 준비과정 - 지진발생선행·파괴과정과 화산분화과정 3. 새로운 관측기술의 개발 새로운 관측기술의 개발과 기존기술의 고도화에 의한 지진·화산현상에 관한 이해를 비약적으로 촉진 - 해저에서의 관측기술의 개발과 고도화 - 우주기술의 이용의 고도화 - 관측기술의 계속적 고도화 4. 계획추진을 위한 체제 강화 - 계획을 추진하는 체제의 정비 - 기초적인 관측연구체제의 강화 - 계획을 실시하기 위한 예산적 조치 - 인재의 확보 , 특히 젊은 연구자의 육성 - 국제공동연구·국제협력추진 - 연구성과의 사회 환원 . |
출처 |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162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