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한국과학재단(이사장 權五甲)과 톰슨 사이언티픽(Thomson Scientific)사(SCI DB제작사, 구 ISI사)는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독창적인 연구분야(Emerging Research Fronts)를 개척한 한국의 과학자 7명에 대한 시상식을 5월 23일(수)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개최한다. 또한, 동 시상식을 기념하여 '과학논문 인용정보 활용방법', 'SCI저널 선정기준 및 정책' 등과 관련된 세미나가 개최될 예정이다. “세계 수준급 연구영역 개척자 시상식”은 올해 처음으로 개최하는 행사로서 이번에 수상하는 과학자 7명은 기존 시상프로그램의 우수과학자 선정방식(주로 전문가 평가에 의존)과 달리 과학논문 인용분석기법(scientometrics)을 통해 선정하였다. 이들 7명의 연구자들은 세계적인 수준에서 독창적 연구영역을 개척하였으며, 해당 연구영역을 선도하는 있는 한국인 과학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도연구영역(Research Fronts)이란 인용도가 해당분야 상위 1%의 범위 내에 드는 SCI논문을 중심으로 공동인용 분석기법을 통해 도출된 주제간 연관성이 있는 논문들의 집합이다. 이러한 선도연구영역은 현재 전 세계에 약 5,538개가 존재하며, 한국인 과학자가 포함된 선도연구영역은 257개이다. 이중 한국인 과학자가 주도하고 있는 연구영역은 7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선도연구영역(Research Front, RF) 분석이란 논문의 공동인용(Co-citation) 패턴 분석에 기초한 중점연구영역(Specialties) 도출기법으로서, 동 기법을 통해 특정연구자가 어느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음. ⇒ 특정한 연구영역에서 연구자간의 논문인용을 통해 정보교환이 빈번히 이루어져 해당 연구영역에서 인용패턴이 분석되면 그 연구영역이 어떻게 구축되었고 다른 연구영역과 어떤 관계를 가지게 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연구영역에서 중추적인 연구자를 파악할 수 있음. ⇒ 즉, Research Front란 복수의 논문이 동시에 하나의 논문에 공동으로 인용되는 관계를 묶은 일정 크기 이상의 연구영역을 의미함. 이번 시상식을 위해 활용된 선도연구영역 분석은 SCI논문 인용분석을 통해 도출된 약 5,538개 RF 중에서 한국인 과학자가 포함된 257개 RF를 대상으로 하였음. 시상자 독창적 연구영역 개척분야 유 룡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교수) 규칙적 메조다공성 탄소물질 조봉래 (고려대학교 화학과 교수) 이광자 흡수효율이 큰 유기재료 최형진 (인하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전기유변유체 및 특성분석 안진흥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T-DNA 삽입변이 박종문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바이오매스에 의한 Cr(VI)의 생체흡착 최기운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 교수) 부드러운 초대칭성의 깨어짐 김빛내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마이크로 R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