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SPRINT(소형과학위성) 시리즈 계획
기관명 | NDSL |
---|---|
작성자 |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
작성일자 | 2010-08-12 00:00:00.000 |
내용 | ◆ 정책적 자리매김 「우주기본계획」제 3 장 1(2)F 우주과학 프로그램 ( 2009 년 6 월 2 일 ) 보다 저렴하고 신속하며 도전적인 우주과학연구를 실현하기 위해서 소형과학위성을 활용한다 . 소형과학위성은 5 년에 3 기 정도의 빈도로 쏘아 올려 과학자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해 나간다 . 「우주과학연구의 추진에 대하여」 SAC 계획부회 우주과학 WG ( 2006 년 12 월 21 일 ) 또한 소형과학위성계획에 관해서는 최근의 전자부품의 소형화 기술의 진전에 의해 소형이라도 세계최고수준의 성과가 기대되는 관측기기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 이 소형계획은 중형 ∙ 대형과학위성의 실현 가능성을 우주 실증하는 역할을 가질 뿐만 아니라 기동적이며 신속하게 성과를 올릴 수 있다는 기대를 갖는 동시에 대학에 의한 주체적인 활동으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관계 커뮤니티로부터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 따라서 기구는 이러한 소형과학계획을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SPRINT 시리즈의 의의 ∙ 목적 ∙ 목표 SPRINT 시리즈의 의의 보다 저렴하고 신속하며 도전적인 우주과학연구의 실현 미션의 다양성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위성기술의 획득 젊은 연구자 등에게 개발을 경험하는 장을 제공 SPRINT 시리즈의 목적 #9642; 종래의 중형과학위성의 보완적 자리매김으로 특징 있는 우주과학 미션을 신속하면 높은 빈도로 실현한다 . #9642; 우주과학 커뮤니티가 제안하는 미션의 다양성을 흡수하면서 저 코스트 ∙ 단기간에 소형위성개발을 실현한다 . #9642; 입실론 로켓에 대비가 되는 형태로 시기 적절한 ( timely ) 우주과학관측 ∙ 실현의 기회를 정비한다 . SPRINT 시리즈의 목표 #9642; 약 5 년간에 3 기정도의 소형과학위성을 쏘아 올린다 . #9642; 시리즈화 위성을 저 코스트로 단기간에 쏘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세미 오더 메이드형 버스 ( 모선 ) 」의 기술을 습득한다 . ◆ SPRINT 시리즈의 개발방침 #9642; 다양한 요구를 포함하는 버스 ( 모선 ) 사양의 검토 - 2005 년 1 월에 우 주연 이학위원회 ∙ 공학위원회에서 소형위성계획에 관한 앙케이트를 실시한 결과 우주과학 커뮤니티로부터 25 의 구상이 전해져 그 중 16 의 구상이 중요한 과학적 성과가 기대되어 후보로 선정되었다 . - 이 16 의 구상을 기술적 요소를 포함하는 구상으로 특징적인 5 개의 제안이 선정되었으나 검토 결과 이 5 개의 구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단일사양의 표준버스 ( 모선 ) 로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 이 때문에 이 5 개의 구상을 포함하는 세미 오더 메이드형 버스 ( 모선 ) 을 검토 위성 A: 태양동기궤도 초정밀 3 축 자세 제어 위성 B: 저궤도 중요 미션 기기 위성 C: 장타원 궤도 스핀안정 위성 D: 달표면 착륙궤도 초정밀 유도제어 위성 E: 혹성간 궤도 스핀 안정 #9642; 위성 사양의 카달로그화 / 메뉴화 - 사양을 카달로그화 / 메뉴화 하여 미션 요구의 폭을 흡수한다 . 종래의 중형과학위성을 「오더 메이드」 . 고전적인 표준 버스 ( 모선 ) 을 「기제품」이라 한다면 「세미 오더 메이드」적 자리매김을 겨냥한다 . - 기기의 장치를 용이하게 변환하기 위해서는 표준 인터페이스가 필수가 된다 . ◆ SPRINT-A 의 계획개요 #9642; 금성 , 토성 , 목성을 극단 자외선 (EUV) 로 관측 - 지구형 혹성 ( 금성 ∙ 화성 ) 의 대기유출을 관측하고 혹성 대기유출의 태양풍의 응답을 해명하여 혹성 대기진화의 역사의 다양성 , 나아가 생명을 육성하는 혹성의 성립조건을 탐구한다 . - 태앙계 내의 회전계 자기권의 대표인 목성 이오 플라즈마 토러스를 관측하여 전자온도를 도출하는 동시에 발광영역의 배경 에너지 지수의 메커니즘을 해명하여 혹성환경 다양성의 이해를 촉진한다 . ◆ 정리 SPRINT 시리즈는 종래의 중형과학위성의 보완적인 자리매김으로 특징 있는 우주과학미션을 신속하고 높은 빈도로 실현하기 위해 약 5 년간 3 기 정도의 소형과학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이다 . 이미 소형과학위성의 미션 후보를 검토하는 많은 워킹 그룹이 설립되어 있어 향후 본 시리즈가 정착하는 것으로 우주과학 커뮤니티의 넓어져 새로운 활성화가 기대된다 . SPRINT-A ( 소형과학위성 1 호기 ) 는 2013 년 정도에 입실론 로켓으로 쏘아 올릴 것을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
출처 |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38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