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시의 위험도에 대한 분석 도구의 정교성 향상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ISSN | 2383-6318,2383-6326 |
ISBN |
저자(한글) | 전현구,엄기진,목성균,조은선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6-01-01 |
초록 |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개발자는 크래시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퍼징 도구를 사용한 테스트를 통해 미리 취약점을 확인한 후 수정 보완한다. 이 때 개발자는 보안 위험도가 높은 취약점을 중요하게 간주하여 먼저 수정 보완함으로써 해커의 공격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개발자는 일반적으로 보안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으므로, 취약점에 대한 보안 위험도 판별을 도구에 의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크래시를 보안 위험성에 따라 분류하는 정적 분석기반의 도구를 제안하여 궁극적으로 개발자가 신뢰성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도구는 크래시 발생지점 이후부터 정적 오염분석을 하여 해당 크래시가 공격 가능한지를 분석 확인함으로써, 보안 위험도가 높은 크래시를 탐지하게 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크래시 집합에 대해 MSEC의 !exploitable과 비교 실험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JAKO20161375275793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정적 분석,크래시,공격 가능성,오염 분석,static analysis,crash,exploitability,taint analy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