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 of GABA on RIN-m5f Cells in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Injury Model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食品與生物技術學報 = Journal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ISSN 1673-1689,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LIN, Yi,GAO, Cui-cui,CHEN, Li-li,TANG, Xue,SHI, Yong-hui,LE, Guo-w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GABA는 췌장 보호 작용이 있지만, 그 구체적인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췌장섬(islet) β 세포에 대한 GABA의 항산화(anti-oxidative)와 항사멸 작용 및 인슐린 분비에 대한 촉진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저자는 고당(44 mmol/L) 유도 작용을 통해 세포의 산화 손상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율, 세포 ROS 생성량, 세포 항산화효소 활성, 말론알데히드(Malonaldehyde) 함량, 인슐린 분비량 및 관련 유전자 수준에 대한 측정을 통해 서로 다른 농도의 GABA(10?50, 100 μmol/L)이 고당 유도의 산화 손상에 의한 RIN-m5f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을 분석 및 논의하였다. 실험 결과, GABA는 RIN-m5f 세포의 생존율을 향상할 수 있고 ROS 생성량을 낮추며, SOD와 GSH-Px의 활성을 뚜렷하게 촉진할 수 있다. 또한 MDA의 농도를 낮추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Nrf2와 Bcl-2의 mRNA 수준을 높이고 GSK-3β와 Bax의 mRNA 수준을 낮출 수 있다. 이미 발견된 이런 작용에는 용량-효과 관계(Dosage-dependent effect)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ABA의 보호작용은 GSK-3β 억제, Bax 생성의 진일보 억제, Nrf2와 Bcl-2 등 핵심 인자에 대한 활성화를 통해 구현된다. 그러므로 GABA는 RIN-m5f에 대한 항산화, 항사멸 및 인슐린 분비에 대한 촉진 작용이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63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GABA,RIN-m5f,anti-oxidative,cell viability,insulin secretion,GABA,γ-아미노낙산,항산화,세포 생존율,인슐린 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