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rogress of biological invasions research in China over the last decad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生物多樣性 = Biodiversity science
ISSN 1005-0094,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Ju, Ruiting,Li, Hui,Shi, Zhengren,Li, Bo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2-01-01
초록 생물 침입(biological invasions)은 침입지역의 생태환경, 사회경제, 인류건강 등을 위협하여 21세기 5대 지구환경문제 중의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2000년 이후의 중국 생물 침입 연구분야, 특히 침입종의 다양성(diversity)과 패턴, 침입 메커니즘(invasion mechanisms) 및 생태학적 효과(ecological effects), 관리 및 제어(control and management) 등 분야를 기반으로 연구 범위와 심도에 대해 논술하였으며, 중국의 생물 침입 조기경보와 예방 및 과학적 관리에 참고를 제공하였다. 초보적 연구에 의하면, 중국의 침입종 수량은 529종에 달하는데, 그중 육생식물, 육생 무척추동물과 미생물 등이 주요 침입군집이며, 그 주요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주와 남아메리카주이다. 또한 경제가 발달하고, 기후가 따뜻하고 습한 동부와 남부지역 성(省)의 침입 태세는 서부와 북부지역 성(省)보다 심각하며, 중국 경제의 발전과 함께 생물 침입의 문제도 더 극심할 수 있다. 외래종이 성공적으로 침입할 수 있는 원인은 본질적인 장점, 자원 기회와 인위개변의 간섭 등이 공동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그중, 표현형 적응성, 적응진화, 천적방출, 이종 간의 상호 이익 및 편리공생, 타감 작용 등의 요소는 외래종의 침입에 주된 역할을 하였다. 생물 침입은 중국 본토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으며, 생태계의 고유 균형을 깨뜨려 중국 농업, 임업, 목축업과 어업의 생산, 해운 교통, 환경, 인류건강과 공공시설안전 등에 위험을 주었다. 생물 침입을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중국은 검출 모니터링, 모험분석, 생물학적 방제, 확산 차단, 근치 제거, 생태회복 등 기술 시스템의 연구와 실시를 강화하였으며, 또 일부 주요한 침입종의 확장을 제어하였다. 중국 생물 침입은 지역 전체 과학 고찰, 생물 침입의 유전학, 유전체학, 생태계 영향, 글로벌 변화, 관리 및 제어기술 혁신 등 분야에서 교류 협력과 시스템 연구를 강화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652232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biological invasions,China,control and management,diversity,ecological effects,invasion mechanisms,생물 침입,중국,관리 및 제어,다양성,생태학적 효과,침입 메커니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