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enolic foam prepared by lignin from a steam-explosion derived biorefinery of corn stalk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生物工程學報 = Chinese journal of biotechnology |
ISSN | 1000-3061, |
ISBN |
저자(한글) | WANG, Guan-hua,CHEN, Hong-zhang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14-01-01 |
초록 | 목질 섬유소를 원자재로 생물학적으로 제련하는 것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를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리그닌(Lignin)의 이용도 고려하여야 하는데 이를 통하여 목질 섬유소 제련의 전반적인 경제적 효과와 이익을 높일 수 있다. 증기 폭발 처리한 옥수수 짚을 원자재로, 최적화한 알칼리 추출 온도 및 알칼리 농도를 통하여 리그닌 수율이 비교적 높고 당 함량이 비교적 낮은 추출액을 얻었다. 동시에 해당 추출액은 농축된 후 직접 일부 페놀과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대체하여 페놀폼(Phenolic foam)을 반응 제작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추출 온도 120℃, 알칼리 농도 1%, 고체-액체 비율(ratio of solid to liquid) 1:10, 추출 시간 2h, 리그닌(Lignin) 추출율은 79.67%였다. 해당 추출액으로 페놀을 대체하여 제작한 페놀폼은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폼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압축 강도는 순수 페놀폼에 비하여 높아졌다. 그러나 리그닌의 첨가는 해당 열전도율 및 난연성(flame retardant properties)에 명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동시에 비교적 저렴한 재생 가능한 자원 리그닌으로 재생 불가능한 페놀 원료를 대체하였기에 원가가 낮고 환경 보호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더욱 좋은 시장 응용 전망을 보이고 있다. 리그닌 추출액으로 페놀폼 재료를 제작하는 것은 작업 과정이 간단하다. 해당 방법은 부산물인 리그닌의 경제적 가치를 높였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목질 섬유소 제련의 경제성을 제고하였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078832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 corn stalk,steam-explosion derived biorefinery,alkali extraction,lignin application,phenolic foam,performance characterization,옥수수 짚,증기 폭발 제련,알칼리 추출,리그닌 응용,페놀폼,성능 특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