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제목 수집되는 고서 및 목판류에서 발생되는 미생물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 조사 2. 연구개발의 목적 ⊙ 기관에서 수집되고 있는 고서 및 목판류를 작업하는 과정 중에 근무자에게서 발생되는 피부질환의 원인 규명을 위한 역학조사 ⊙ 발생된 유해미생물의 특성과 근무자의 임상적인 실험을 통하여 기록물 및문화재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한 대책방안 강구 3. 연구 내용 및 범위 ⊙ 고서 및 목판류를 분류하는 작업실과 보관하는 수장고내의 공기중에 부유하는 유해미생물 조사 ⊙ 고서 및 목판류에 서식하는 가해미생물 채집 ⊙ 고서와 목판에서 분리, 채취한 유해미생물의 독성조사 ⊙ 순수분리한 가해미생물의 문화재 재질의 훼손 가능성 조사 ⊙ 작업실과 수장고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의 입상조사 4. 연구결과 및 대책방안 ⊙ 고서와 목판 및 수장고에서 유해미생물을 채취, 분리하여 형태학적, 생리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동정한 결과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versicolor, Bacillus subtilis, Mucor mucedo, Neurospora sitophile, Penicilliun rugulosum, Penicillum viridicatum, Pseudomonas putidav, Rhizopus delema,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myces sp., Thamidium elegans, Tricoderma viridae의 l4종을 순수 분리, 동정하였다. ⊙ 고서 및 목판에서 분리한 미생물들이 기록물 및 문화재를 취급하고 관리하는 근무자에게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효모, 식물, 암세포를 이용하여 독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분리한 미생물에서 독성이 검출되었다. ⊙ 분리한 미생물 중에서 Aspergillus oryzae, Pseudomonas putidav, Trioderma viridae가 고서와 목판의 섬유질 재질을 강하게 분해하여 재질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근무자의 혈액조사 결과에서 정상인에게서는 볼 수 없는 병원미생물의 독소에 의해서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혈액수치 결과가 나왔다. ⊙ 수집되는 문화재의 효율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하여 철저하게 소독을 통하여 작업실이나 서고 및 수장고에 입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해미생물에 대한 근무자 및 문화재의 보존에 그 중요성이 있다고 사려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