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보건사회 분야 정책 개발 방향
기관명 | NDSL |
---|---|
저널명 | 보건복지포럼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ISSN | 1226-3648, |
ISBN |
저자(한글) | |
---|---|
저자(영문) | |
소속기관 | |
소속기관(영문) | |
출판인 | |
간행물 번호 | |
발행연도 | 2009-01-01 |
초록 | 기후변화는 시스템에 새로운 압력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자연생태계의 경우 자연선택의 압력요인으로 작용하나 사회시스템의 경우 사회시스템의 반응으로 사회구성원 및 조직의 변화와 혁신이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기존의 기후변화 대응 보고서는 주로 일부 건강분야 영향 분야에 집중하였고 안전, 교육 및 사회통합 분야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소홀히 취급되었다. 보건사회적 관점에서 기후변화 취약계층은 기후변화에 취약한 지역에 사는 사람, 사회적 배제 집단(빈곤층, 허약(불건강)집단, 이동성 장애집단, 취약거주집단 등), 기후변화 정보/지원서비스/적응능력/의사결정구조에서 배제된 집단 등이다. 따라서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기후변화 양상과 그로 인한 영향의 크기, 취약계층을 포함하는 지역사회 적응력 향상 방법, 기존의 관리방향 등을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하며 집행과정은 취약계층과 밀접히 결합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
원문URL |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56235768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DDC 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