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러시아, 나노기술회사 설립법 의회에서 인준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7-06 00:00:00.000
내용 최근 나노기술 선두 국가로 미국, 유럽연합 및 일본이다. 비록 러시아는 세계적으로 앞선 이론을 가졌지만 실제적으로 이 국가들보다 7~10년 뒤떨어지고 있다. 이 수준 격차를 좁히기 위하여 러시아에서 대규모 나노기술을 발전시키려고 한다. 하지만 실용성과를 얻으려면 이 사업을 충분하게 계획하고 효과적으로 집행하여야 하며 학술적인 경쟁도 필요한다. 지금 직면하고 있는 가장 기초적인 연구의 목표는 기술적 아이디어 및 목표를 세우는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이 최대의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여야만 발전이 가능하다. 지금 러시아 정부에서 무기제작(weapons project)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나노기술 연구에 1500억 루블(57.6억$)를 투자하였다. 그 중 약 120억 루블은 2007년의 나노기술 발전에 사용한다. 이것은 2006년의 25억 루블보다 5배나 많으며 거의 미국과 동등하다. 이 프로젝트들의 실행은 Kurchatov 협회가 인솔하고 있는 특별 나노기술 회사에서 감독하며 2010년까지 나노기술의 기초 기반을 든든하게 세우는 제안을 정부에 제출하였다. Kurchatov 협회는 또한 최고의 연구실과 협회에 좋은 설비를 제공하는 등 재정 분배를 조정한다. 그리고 과학기술자들을 한 곳으로 모아 일련의 과학 성과를 제출하게 하여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려고 한다. 이런 정책들에 더불에 2007년 7월 4일에 러시아 의회에서 러시아 나노기술 회사 설립법을 채택(인준)하였다. 설립법에 의하면, 회사의 기능으로 러시아의 나노기술 및 나노공업을 위한 정책위원회에서 정부, 사업 및 과학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여러 프로그램과 나노기술 프로젝트 선발에 대한 조직적 및 재정적인 원조 등이 포함한다. 그리고 러시아 정부에서 2015년까지 나노기술발전에 2000억루블(77억$)를 투자하고 또한 나노기술에 관한 국립평의회를 설립하였으며 첨단기술의 발전을 책임하고 있는 수상이 책임을 지게 된다. 의학을 촉진하고 우주연구, 전자통신 및 무기제조 등을 발전할 수 있는 나노기술연구는 우선적으로 기금을 받을 것이며 정부에서 이 분야에 수요되는 기술설비, 직원 및 관리운영 등에 관련한 모든 필요된 기금을 제공한다. 나노기술평의회에서 마이크로미터(micrometer)보다 작은 입자를 연구하며 나노기술의 발전과 실용성과를 촉진하며 나노산업을 발전하며 나노 생산물 및 서비스 시장을 개척한다. 러시아는 젊은 나노기술 발전국가이지만 유망한 나노강국으로 세계에서 주목을 받게 될 것이다. 나노기술은 1/10억 미터를 다루는 미세 구성 단위이며 이런 기술을 이용하여 극도로 작은 설비를 만드는데 여기서 양자와 광자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나노기술은 소재의 화학성질을 변화하지 않고 그 소재의 기본적인 물리 성질을 다룰 수 있다.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충전 필요가 없는 '영구'전지를 만들 수 있으며 약을 아주 작은 캡슐(capsule)에 담아 직접적으로 감염된 기관 및 인체의 각 곳에 전달할 수 있으며 새로운 광학성, 전기성 및 자기성질을 띈 소재를 만들 수 있다. Microchip들은 점점 작아지고 전통적 제조방법은 이미 절정에 도달하여 더이상 발전할 수 없지만 나노전자 제품은 메모리(memory), logic, passive optical components, autoemission 설비, flat displays 및 light diodes 등을 포함한다. 나노광양자학(Nanophotonic) 및 나노생명공학은 유망한 하나의 분야이다. 나노 광양자학은 넓은 대역폭, 빠른 속도 및 극소형 광메모리 물질의 합성 등을 포함하고 빨리 성장하는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특별히 생명원리를 연구하는 나노기술설비를 제조하여 진단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13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