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2009년도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개산요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9-19 00:00:00.000
내용 2009 년도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개산요구에 대하여 경제산업성의 연구개발의 하나인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에 관한 2009 년도 예산개산 요구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1. IT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2009 년도 개산요구액 (2008 년도 예산액 ) 318 억엔 (268 억엔 )(100 엔 =10 1074,83 원 2009 년9 월19 일 현재 ) 정보통신기기·디바이스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개발하여 실제 사회의 이용을 촉진한다 . 또 정보시스템·소프트웨어에 대한 품질 ,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으로 안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정비를 추진함으로써 IT 활용의 심화·확대를 도모한다 . IT 와 서비스의 융합으로 신시장창출촉진사업 1,875 백만엔 ( 신규 ) 차 재용 IT 시스템을 활용한 긴급의료체제정비 300 만엔 ( 신규 ) 차세대 시스템 수준 설계 연구개발 125 백만엔 ( 신규 ) 유해정보 필터링 기술개발·보급계발사업 140 백만엔 ( 신규 ) 차세대반도체 재료·프로세스기반프로젝트 / 차세대저소비전력반도체 기반기술개발 (MIRAI) 5,044 백만엔 (5,000 백만엔 ) 입체구조신기능집적회로 ( 드림칩 ) 기술개발 1,300 백만엔 (1,200 백만엔 ) 그린 IT 프로젝트 6,800 백만엔 (3,000 백만엔 ) 정보대항해프로젝트 4,110 백만엔 (4,108 백만엔 ) 산학연대소프트웨어 공학실천사업 1,570 백만엔 (1,570 백만엔 ) 2. 나노테크·건축자재이노베이션 프로그램 220 억엔 (183 억엔 ) 정보통신 , 라이프사이언스 , 환경 , 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 대한 고도화 , 불연속적 혁신을 가져오는 나노테크놀러지 및 혁신적 건축자재 기술을 확립하고 그 실용화와 시장화를 촉진하여 일본 산업의 국제경쟁력의 유지·강화 , 해결하기 힘든 사회적 과제를 극복한다 . 그린·지속가능한 화학물질 프로세스 기반기술개발 1,500 백만엔 ( 신규 ) 혁신적 에너지절약 세라믹스 제조기술개발 1,600 백만엔 (1,000 백만엔 ) 희소금속 대체재료개발 프로젝트 1,600 백만엔 (1,000 백만엔 ) 이분야이업종 나오테크 챌린지 ( 나노테크혁신건축자재실용화 연구개발 ) 3,646 백만엔 (3,646 백만엔 ) 지속가능한 하이퍼컨포지트 기술개발 710 백만엔 (320 백만엔 ) 철강재료 혁신적 ·고강도·고기능화 기반연구개발 1,000 백만엔 (1,000 백만엔 ) 나노입자의 특성평가방법개발 450 백만엔 (374 백만엔 ) 3. 로봇 ·신기계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56 억엔 (46 억엔 ) 로봇기술 ·기계기술을 기반으로 한 IT 기술·지능화 기술 등 첨단적 요소기술과 융합을 촉진함으로써 가정 , 의료·복지 , 재해 대응 등 폭넓은 분야에서 활약하는 차세대 로봇과 신기계 기술의 개발·실용화를 촉진하여 생산성 향상 , 인간생활의 질 향상 , 제조업의 경쟁력 유지·강화를 목표로 한다 . 생활지원 로봇 실용화 프로젝트 2,000 백만엔 ( 신규 ) 기반로봇 기술활용형 오픈이노베이션촉진 프로젝트 100 백만엔 (100 백만엔 ) 차세대 로봇 지능화 기술개발프로젝트 1,500 백만엔 (1,500 백만엔 ) 전략적 첨단로봇 요소기술개발 프로젝트 800 백만엔 (800 백만엔 ) 이분야 융합형 차세대 디바이스 제조기술개발 프로젝트 1,150 백만엔 (1,150 백만엔 ) 4. 에너지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1,669 억엔 (1,447 억엔 ) 에너지절약기술 , 신에너지기술 , 연료기술 , 원자력·전력기술의 각 분야에서 중장기적 시점으로 실용화 , 보급단계까지 혁신적 에너지 기술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 그린·지속가능한 화학물질 프로세스 기반기술개발 1,500 백만엔 ( 신규 ) 에너지 ITS 추진사업 1,430 백만엔 (850 백만엔 ) 신에너지 기술연구개발 10,372 백만엔 (7,700 백만엔 ) 고체고분자형 재료전지실용화전략적 기술개발 8,722 백만엔 (6,669 백만엔 ) 차세대 축전시스템 실용화 전략적 기술개발 8,772 백만엔 (6,669 백만엔 ) 혁신형 축전지 첨단과학기초연구사업 3,000 백만엔 ( 신규 ) 차세대 경수로 등 기술개발 2,042 백만엔 (1,250 백만엔 ) 고속증식로 사이클 실용화 연구개발 5,450 백만엔 (4,372 백만엔 ) 방사성 폐기물 처리처분기술개발 4,591 백만엔 (4,863 백만엔 ) 희토류 초전도 전력기기기술개발 4,000 백만엔 (3,000 백만엔 ) 혁신적 제로미션 석탄화력발전 프로젝트 4,162 백만엔 (3,251 백만엔 )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촉진사업 4,526 백만엔 (2,533 백만엔 ) 5. 환경안심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230 억엔 (132 억엔 ) 온실가스 배출감소 , 폐기물 발생억제 , 제품의 재사용 , 원재료 리사이클 추진으로 순환형 사회 형성 , 바이오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지구에 좋은 제조 과정 , 환경형 산업 시스템 창조 , 화학물질의 위험 평가 , 관리를 하는 사회시스템을 구축한다 . (1) 지구온난화 방지 신기술 CCS(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 실증시험연구 4,000 백만엔 ( 신규 ) 혁신적 제철프로세스 기술개발 1,950 백만엔 (560 백만엔 ) 논프론형 에너지절약 냉동공조 시스템개발 1,037 백만엔 (576 백만엔 ) (2) 자원제약극복 /3R 물절약형·환경조화형 물순환 프로젝트 2,500 백만엔 ( 신규 ) 희소금속 대체재료 개발프로젝트 1,600 백만엔 (1,000 백만엔 ) 희소금속 회수기술개발 695 백만엔 (200 백만엔 ) (3) 환경조화 산업창조바이오 바이오매스 에너지 등 고효율전환기술개발 3,800 백만엔 (2,800 백만엔 ) 식물기능을 활용한 고도의 제조기반기술개발 1,596 백만엔 (1,596 백만엔 ) 미생물 기능을 활용한 환경조화형 제조기반기술개발 1,105 백만엔 (1,105 백만엔 ) (4) 화학물질 종합평가관리 구조활성상관방법에 의한 유해성 평가방법개발 190 백만엔 (180 백만엔 ) 석유정제물 등 간편한 유해성평가방법개발 275 백만엔 (250 백만엔 ) 석면포함 건축재료 등 안전회수 ·처리 등 기술개발사업 190 백만엔 (190 백만엔 ) 6. 건강안심 프로젝트 138 억엔 (126 억엔 ) 건강수명 연장 ,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창약의 기반기술개발 , 재생의료 확립 , 의료기기 ·복지기기 개발을 도모한다 . 이것으로 건강유지증진 , 질병의 조기진단 , 적절한 치료법 제공 및 관련산업의 경쟁력 강화·벤처기업의 창출을 이룬다 . 간세포산업응용촉진 기술개발 1,000 백만엔 ( 신규 ) 기초연구에서 임상연구로의 촉진기술개발 3,300 백만엔 (2,600 백만엔 ) 게놈 창약가속지원 바이오기반기술개발 3,000 백만엔 (2,804 백만엔 ) 지적 수슬기기연구개발 800 백만엔 (600 백만엔 ) 재생의료평가연구개발사업 770 백만엔 (747 백만엔 ) 7. 항공기 ·우주산업 이노베이션 프로그램 338 억엔 (227 억엔 ) 일본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한 항공기 산업에 관한 기술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국민 안전뿐 아니라 고도정보화 사회 실현 , 지구환경 보전 등 다양한 사회 니즈에 응답하는 우주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 차세대 지구관측센서 등 연구개발 4,980 백만엔 (3,020 백만엔 ) 소형화에 의한 선진적 우주시스템연구개발 1,650 백만엔 (605 백만엔 ) 우주산업기술정보기반정비연구개발 900 백만엔 (490 백만엔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46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