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과학기술을 통해 국민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매우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돼 주목을 받고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은 올 상반기 전국 1천14명을 대상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면접을 통해 실시한 ‘국민생활 밀착형 과학기술’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6일 요약해 발표했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식생활, 주거환경, 일터, 학교, 교통수단 등에서 생활밀착형 과학기술이 실현되기를 고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환경에 있어 니즈를 묻는 질문에 28.7%가 ‘학생들의 체형에 맞는 학습도구와 창의적 학교구조’를 원했다. “과학기술로 국민 행복지수 높인다” 식생활 분야에 있어 응답자의 32.9%는 ‘믿을 수 있는 원산지 및 식품성분 표시(유통기한 포함)’를, 27.9%는 ‘농약, 방부제로 오염되지 않은 식품’, 18.0%는 ‘건강한 농수산물 직거래 유통’, 11.3%는 ‘위생적이고 편리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식’을 개발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주거환경에 있어서는 26.2%가 ‘교육환경이 갖추어지고 저렴한 집’을, 21.2%가 ‘적절한 실내온도가 유지되며 비용도 저렴한 냉난방’을, 15.6%가 ‘아토피 걱정 없는 깨끗한 실내공기’를, 14.6%가 ‘도둑으로부터의 안전과 재해안전’을, 14.4%가 ‘소음 없는 주거환경’을 필요로 했다. 교통수단과 관련해서는 36.5%가 ‘붐비지 않고 신속하며 질 높은 교통수단’을 선택했다. 이어 18.2%는 ‘안심하고 자전거를 탈 교통 환경’을, 16.2%가 ‘교통정체의 해소’를, 14.5%는 ‘노약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교통 환경’을, 13.6%는 ‘밤늦은 시간의 택시안전’을 요구했다. 그밖의 도보이동 시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 40.4%가 ‘마음놓고 걸을 수 있는 인도와 골목길’을, 39.6%가 ‘녹지가 어우러진 깨끗한 거리’를, 11.5%가 ‘깨끗한 공기의 도로 ·지하공간·지하철·주차공간’을, 7.9%는 ‘소음이 적은 거리’를 요구했다. 실외활동을 하는 데 있어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 질문에는 26.9%가 ‘아이들이 운동하고, 노인들이 편히 쉴 가까운 공원’을, 24.1%는 ‘쉽게 다양한 문화를 누리고 소통할 공간‘을, 22.3%는 ’신선한 물·공기·흙과의 접촉‘을, 12.1%는 ’시설사고로부터의 안전‘을 요구하고 있었다. ‘안전한 자전거길’ 니즈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와 지역환경에서 가장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24.2%가 ‘풍부한 문화공간 및 양질의 도서관’을, 19.4%는 ‘언제나 접근가능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16.1%가 ‘밝고 안전한 밤거리’를, 16.0%가 ‘친환경적 도시 재정비’를, 12.2%는 ‘청년층이 쉽게 창업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10.8%는 ‘쓰레기 문제 해결’을 요구했다. 가장 필요한 분야를 개인 차원에서 어떻게 보는지 묻는 질문에서는 42.2%가 ‘지역환경 및 경제’ 문제를, 16.9%가 ‘식생활’ 문제를, 13.3%가 ‘휴식 및 레포츠’ 문제를, 9.6%가 ‘집’ 문제를 해결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유의선 부연구위원은 “안심하고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교통 환경‘에 대한 요구가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왔다”고 말했다. “이는 실제로 안전·건강·친환경 자전거 교통 환경을 구비했을 경우 자전거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유 위원은 또 “이런 잠재적 니즈를 현실화하고 저탄소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국민생활 밀착형 과학기술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붐비지 않고, 신속하며 질 높은 대중교통 시스템에 대한 니즈는 과학기술만으로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과학기술과 정책, 나아가 사회경제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난 2007년 ‘기술기반 삶의 질 제고 향상 종합대책(안)‘을 기초로 공공복지, 건강, 안전 분야에서 12개 세부 추진분야를 도출한 바 있다. 2008년에는 ‘과학기술기본계획’을 통해, 2009년에는 ‘국가 연구개발 사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통해 고령화, 식품 등 국민의 건강한 삶 관련 현안분야와 자연 및 인위적 재난, 재해 예방 및 대응 등 안전한 삶 관련 현안 분야 R&D 정책을 강화키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