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아프리카에서 호주까지 바다를 건너간 거미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8-09 00:00:00.000
내용 호주 애들레이드 대학(University of Adelaide)의 Sophie Harrison은 오픈 액세스 저널 PLOS ONE 에 호주의 문짝거미(Trapdoor spider)가 지리적 분리의 산물이기보다 아프리카에서 호주까지 바다를 건너 분산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다윈이 장거리 분산(Long-distance dispersal)은 많은 유기체 그룹의 진화적 역사를 설명한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남반구의 종의 분산은 해양의 거리가 너무 커서 연구자들은 일반적으로 곤드와나(Gondwana) 대륙 분리의 산물이라고 추정했다. 곤드와나 대륙은 수백만 년 전에 지구 남반구에 있었던 대륙으로 남극,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호주와 뉴질랜드를 비롯한 아라비아 반도와 인도아대륙을 포함한다. 그러나 현대 분자 기술의 출현으로 이 논쟁은 다시 검토 중이다. 호주의 문짝거미( Moggridgea rainbowi )는 부화한 곳에서 몇 미터 이내에 터를 잡고 살아가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 종은 아프리카 속(genus) Moggridgea 에 속하는 거미로 확인되었다. Harrison 연구팀은 호주의 종들이 언제 아프리카 계통에서 갈라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호주 캥거루 섬(Kangaroo Island)에 있는 7마리의 M. rainbowi 와 5마리의 남아프리카 Moggridgea 의 유전자 6개(5개의 핵과 1개의 미토콘드리아)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자들은 200만 년 전에 M. rainbowi 가 아프리카에서 갈라졌음을 알아냈으며, 이것은 M. rainbowi 가 곤드와나 대륙 분리의 산물이라는 가설에 부합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약 1억 1천만 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더욱이 M. rainbowi 는 인간이 캥거루 섬에 들어오기 전에 먼저 터를 잡고 살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오히려 M. rainbowi 가 아프리카에서 호주까지 사람을 통해서가 아닌 다른 경로로 바다를 건너 갔다는 가설이 더 설득력 있다고 설명했다. Moggridgea 의 해양 분산은 선례가 있다. 아프리카 대륙에서 340km 떨어진 화산섬 Comoros에서도 이 거미가 발견된다. 연구자들은 M. rainbowi 가 바다로 쓸려간 큰 초목 더미나 잔해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호주까지 10,000km를 이동한 것이 아닌지 제안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8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거미, 분산 2. Spider, Disper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