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배경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 물리, 생물 등의 이공계 분야의 올림픽이 매년 나라와 지역을 달리해 세계 각지에서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적인 과학 및 기능을 겨루는 경합은 1950년에 시작하여 컴퓨터 등의 새로운 분야를 늘려가며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이공계 올림픽의 목적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여 타고난 재능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학습을 장려하고, 독창성과 발상력을 키워감과 동시에 참가자간의 국제 교류에 의해 우호 관계를 쌓기 위함이다. 세계 각국의 학생이 이러한 올림픽을 통해 문화 교류와 더불어 귀중한 체험이 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공계 국제 올림픽의 최근 상위국은 중국, 러시아, 미국, 한국, 대만으로 그 중에서도 중국의 올림픽에 대한 관심은 상당히 높아, 중국 국내에서의 대회가 지역 레벨로도 실시되고 있어 중등 교육의 일부가 되었다. 2. 중국의 이공계 올림픽 실시 상황 중국에서는 교육부의 지도하에 전국 레벨의 5과목 이공계 올림픽이 실시되고 있으며, 각 콘테스트는 각 과목의 총괄 상부 기관에 해당하는 중국과학기술협회 청소년과기센터가 주관하고 있다. 본 올림픽의 목적은 고교생에게 과학적 지식을 보급하고 적극적인 과학 학습에의 관심 고조와 더불어 학생 상호간의 교류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학과 중등교육의 개혁을 촉진하고자 함이다. 콘테스트 관련 활동을 통해 우수한 학생을 육성하여 국제 대회에 참가할 선수를 선발하고 있으며, 학생의 전문성을 높이는 학습의 중요한 방식 중 하나로 학교 교육의 일부로서 인정되고 있다. 3. 주요 경기 항목 (1) 수학: 전국 고등중학교 수학 리그전, 중국 수학 올림픽 (2) 물리: 전국 중학(고교) 물리 콘테스트(성省 레벨의 시합 지구), 전국 중학(고교) 물리 콘테스트 결승전(전국 레벨) (3) 화학: 전국 고등중학교 화학 콘테스트(성省 레벨의 시합 지구), 전국 고등중학교 화학 콘테스트(전국 레벨) (4) 정보(컴퓨터): 전국 청소년 정보학 올림픽 리그전 및 결승전 (5) 생물: 전국 중학(고교) 생물학 리그전, 전국 중학(고교) 생물학 결승전 4. 중점 중고교의 이공계 올림픽 인재양성 중국의 인재 양성으로 유명한 중점학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중국에서는 특정의 중학교, 고등학교를 중점학교(등급학교, 모범학교 등)으로 정부가 인정, 예산과 커리큘럼 편성, 교원 채용 등에 있어 우대시 하고 있다. 미국의 Gifted Children 프로그램보다 큰 규모인 중국의 중점학교 내 “실험(중점) 클래스”는 특히 우수 학생의 상징적 존재로서 다수의 중국 대표팀 선수로 선발되고 있다. 호남성 장사시(湖南省 長沙市) 제일중학교가 그 대표적인 예로 1993년부터 지금까지 전국 학과 리그전에서 수상한 학생 수는 478명에 달하고, 그 중 146명은 전국 학과 올림픽(결승)에 진출, 78인이 국가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5. 올림픽 실시 지원책 중국 교육부는 전국 중학(고교)생 학과 올림픽의 지구 대회에서 일등을 획득한 학생에 대해 대학 입시를 면제하고 있어 본 올림픽에의 관심이 높은 이유 중의 하나인 우대정책을 펼치고 있다. 또한 수험생의 입시성적에 반영시키거나 올림픽 성적 우수자에 대한 추천 입학 등을 도입하여 이과계 기피현상에 대한 효율을 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