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생명의학 연구 시설은 미 보건성의 예산이 증가된 후 확장되고 있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과학자들은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이 전보다 훨씬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젊은 과학자들은 새로운 발견보다도 연구비 지원서를 작성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올해로 4년 연속 미 보건성의 예산은 거의 증가 되지 않고 있다. 1998년과 2003년 5년 사이 미 보건성의 예산이 두 배로 증가 되었지만 최근에 들어 많은 과학자들이 어려운 곤경에 빠져 있다. 미 보건성으로부터 지원 받는 연구 지원은 2001년 32%에서 올해 21%로 감소되었고 이미 지원받은 연구비는 10% 이상 삭감되었다. 젊은 과학자들은 연구비 지원을 받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대부분의 중견 급 과학자들도 연구 프로젝트를 감소시키고 있는 형편이다. 2007년 292억 달러의 예산으로도 미 보건성과 생명의학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 보건성은 법에 따라 그해 받은 연구비는 그해에 모두 사용해야 한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 미 보건성의 연구비 예산은 급격히 증가 했고 이 예산은 생명의학 연구의 대규모 확장으로 이어졌으며 예산의 증가가 멈추자 확장된 연구를 유지 할 수 없는 수준으로 상황이 악화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연구실과 과학자들이 그들의 경력과 재정적인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비 지원 감소는 9/11 공격, 아프칸니스탄과 이라크 전쟁과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같은 재해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학은 새로운 건물 증축에 1990년부터 1997년 까지 22억 달러에서 1998년부터 2002년 까지 39억 달러로 증가시켜 투자했다. 이러한 투자는 2002년부터 2007년 까지 74억 달러로 한층 더 증가되었다. 대학은 새로운 교수진을 고용하여 건물을 채웠고 이들로 하여금 미 보건성의 연구비를 얻어 투자를 보상 받고자 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미 보건성 연구비 신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미 보건성에서 처음 작성된 연구비 제안서가 채택되어 연구비 지원을 받는 경우는 2001년 27%에서 2006년 11%로 감소되었다. 많은 과학자들은 어려운 연구비 지원 환경이 미 보건성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암 지놈 지도 (Cancer Genome Atlas)와 같은 대규모 연구 사업으로 인한 것이라고 불평하고 있다. 이 사업은 1억 달러가 예산으로 책정되어 있다. 이 정도 규모의 프로젝트 비용은 많은 과학자들이 실험실을 운영하고 혁신을 위한 연구에 사용 되어 질수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젊은 과학자들이 처음 시도하는 연구비 신청에서 연구비를 지원 받는 경우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 되었다. 이러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대학을 떠나고 있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의회는 조정을 하게 될 것이고 다음 해부터 이러한 연구비 지원은 다소 나아 질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