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중국 하이테크 분야에서 민간기업의 활약 ○ 출처: 2011-08-29 ○ 원문: http://www.chinahightech.com/html/684/2011/0829/213024.html ○ 배경 - 최근 중국공상연합회가 발표한 lsquo;2011년 500대 민영기업 rsquo; 리스트에 랭크된 기업 중, 240개 기업이 하이테크 기업으로 지정되었으며, 360개 업체가 독자적인 연구개발로 핵심기술을 확보한 기업임. - gt; 하이테크 분야에서 민간기업의 활약이 두드러짐을 반증하는 현상임. - 2010년, 민영기업은 구조조정을 통해 독자적인 혁신능력을 높이고 브랜드 이미지를 확보하며,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전략적 신흥산업 분야로의 발전을 시도하는 등 변화와 쇄신의 움직임을 보임. ○ 내용 1. lsquo;2011년 500대 민영기업 rsquo; 보고서 분석 (1) 독자적인 브랜드 보유 현황 - 2010년, 500대 민영기업 가운데 65.2%의 기업이 제품구조 개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함. - 62.4%의 기업이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는 조치를 통해 단순한 제품생산 위주 전략에서 브랜드 구축의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함. - 500대 민영기업 중에서 독자적인 브랜드를 가진 기업은 322곳이었으며, 그 중 244개 업체는 독자 브랜드를 통해 매출의 100%를 거두어들인다고 함(이는 2009년 대비 16.75% 성장한 수치임). - 500대 민영기업 가운데, 177개 기업이 335개의 lsquo;중국 유명(馳名) 상표 rsquo;를 보유함(유명 상표 수량이 6년 연속 성장추세임). - 유명상표 보유기업은 수익현황이 양호해서 매출순이익률과 자산순이익률이 500대 민영기업의 평균 이익률 대비 각각 0.49%, 0.11% 높음. (2) 독자적인 R D 역량 분석 - 500대 민영기업은 독자적인 연구개발을 중시하고 기술 수준을 높여 연구개발 능력을 부단히 강화함. - 240개 기업이 하이테크 기업으로 지정됨. - 360개 기업이 독자적인 혁신을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함. - 89개 기업이 국가급 기업 기술센터를 구축함. - 127개 기업이 lsquo;박사후 과정 연구실 rsquo;을 설치함. - 322개 기업이 47,120개 특허를 보유하며, 그 가운데 발명특허가 43.8%에 이름. - 민영기업은 앞장서서 국가, 업계 표준 제정에 참여하고 있으며 업계 발언권이 높은 대형 민영기업이 성장하고 있음. (3) 핵심기술 및 장비수준 - 500대 민영기업의 핵심기술과 장비수준은 대부분 전국 선두 수준임. - 2010년 기준, 500대 민영기업 가운데 440개 기업의 기술장비 수준이 국내 선진수준 이상에 달함. - 그 가운데, 183개 업체는 국제적인 선두수준에 이름. - 핵심 기술 분야에서는 389개 기업의 핵심기술이 국내 선진수준 이상이며, 145개 업체는 국제 선진수준 이상임. (4) 구조조정 - 2010년, 500대 민영기업 가운데 62.8%의 기업이 국가 정책에 근거하여 자체적인 발전을 위한 산업 구조조정에 나섬. - 특히, 국가의 전략적 신흥산업 육성 정책 아래서, 일부 민영기업은 산업구조를 조정하기 시작함. - 500대 민영기업 중 lsquo;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rsquo;, lsquo;신소재 rsquo;, lsquo;신에너지 rsquo;의 3개 분야에 진입한 민영기업은 각각 180개, 149개, 128개임. - lsquo;정보기술 rsquo;, lsquo;바이오 rsquo;, lsquo;하이엔드 장비 rsquo;, lsquo;신에너지 자동차 rsquo; 분야에는 각각 47개, 39개, 39개, 24개의 민영기업이 진출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