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중소 제조산업 IT 기반 도구에 관한 환경경쟁 조사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4-23 00:00:00.000
내용 ○ 조사 개요 츄부 지역은 일본을 대표하는 제조 산업의 집적지로 자동차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높은 국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제품의 고(高)기능화, 구성 부품의 지능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제조 산업에서 기반 기술인 임베디드 시스템이 담당하는 역할은 커졌으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도 대규모화, 복잡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 츄부 지역 제조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개발력 및 개발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의 기술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국내 제조 도구의 개발ㆍ제공력 강화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는 IT 도구의 활용을 촉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에 중소기업에 편리성과 기능성이 높은 IT 도구의 보급ㆍ확대에서 IT 도구 시장에의 참가 시 과제와 장벽이 되는 각종 규제, 비즈니스상의 장벽을 정리하고 시장 환경 정비ㆍ개선을 위한 방책을 정리했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 시장ㆍ기술 동향 1. 츄부 지역의 임베디드 관련 제조업의 특성 츄부의 임베디드 관련 7개 업종의 내역을 전국과 비교하면 수송용 기계의 집적이 두드러진다. 이어서 전자부품ㆍ디바이스 등이 뒤를 잇는다. 한편 정보통신기기의 비율은 적다. 2. 츄부 지역의 소프트웨어 산업 현황 츄부 지역의 소프트웨어 산업 상황을 보면 사업 종사자 수 33,300명(전국의 5.4%), 연간 매상액 5,677억 엔(4.8%)로 전국에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이다. 제조품 등 출하액에서 전국의 20%, 임베디드 관련 7개 업종에서는 27.9%인 것과 비교하면 소프트웨어 업종의 집적은 적다. 3. 츄부 지역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 진흥에 관한 대책 츄부 지역에서는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수송용 기계의 집적을 활용해 나고야 대학, 나고야시 공업 연구소, 민간기업 등 산학관이 연계하여 차재 임베디드 시스템 포럼(ASIF)를 비롯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관한 다양한 선진적인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4. 기술 동향 (1) 융합 신산업 창출을 위한 6가지 중점 동향: 스마트 커뮤니티의 국내외 전개를 가속화. 스마트 헬스 케어 산업. 사회 시스템에 도입되는 로봇. 정보 단말화하는 자동차와 교통 시스템. 스마트 어그리 시스템. 컨텐츠ㆍ창조 비즈니스 (2) 4가지 정책 전개: 융합 시스템 산업 포럼(가칭). 융합 시스템 설계ㆍ개발ㆍ수출 지원. 사업화 위험 부담 자금 공급 지원. 전략적인 표준화 활동 촉진 ○ 개발 지원 도구 이용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1. 개발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도구 활용 지원(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출) (1) 사용자와 사업자의 협력체제에 의한 도구 제공 체제 확립 도모가 필요 (2) 도구 개발을 할 수 있는 인재 육성 개발 방법 설계 등을 할 수 있는 고도 기술자를 육성함으로써 세계에 통용되는 도구 개발이 촉진되고 도구 수입대국에서 수출대국으로의 탈피도 지향해야 한다. (3) IT와 융합한 신(新)산업 분야의 새로운 도구 개발 IT와 융합한 새로운 산업 창출은 일본에 글로벌 시장 획득의 큰 기회이다. 신산업 분야의 개발 지원 도구도 기존의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게 되어 일본이 앞으로 목표로 하는 영역으로 매우 유망한 분야라고 여겨지기에 산학관 연계 체제를 구축해 개발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2. 츄부 지역의 차재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기른 기술력을 다른 산업으로 전개 (1) 다른 분야로의 횡적 전개 지원 츄부 지역의 차재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의 완성도는 높고, 도구를 이용한 높은 기술력을 다른 분야에 활용해 보다 품질 높은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자동차에서 기른 기술력을 활용하는 것은 츄부 지역의 강점을 살리는 것이기에 다른 분야로의 횡적 전개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임베디드 시스템 기술은 다른 분야에서도 공통 기술 기반이 되는 것이지만 다른 분야로의 전개 시에는 각각의 분야의 요구를 파악한 후 적절한 기술 이전을 도모해야 한다. (2) 연결, 비즈니스 제안의 장(場)을 제공 기술력과 시장 요구 파악력이 양립해야 강한 산업이 창출된다. 다른 지역의 관련 기업이 대처하고 있는 분야와 앞으로 대처하고 싶은 분야 영역의 전개 및 정보를 교류시키는 활동으로 새로운 사업 전개의 구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이러한 교류의 장을 제공한다. (3) 특정 제조 기반 기술 고도화 지침 개정에의 대응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기술에서는 향후 스마트 커뮤니티와 스마트 시스템과 같은 네트워크 개념의 발달과 함께 시스템의 급속한 복잡화, 대규모화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 보다 고도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창출에는 새로운 도구의 개발과 보급 촉진이 필요하며, 전략적 기반 기술 고도화 지원 사업 등을 활용한 지원이 요구된다. 3. 고도의 기술을 획득하고 있는 기술자 육성 (1) 임베디드 계열과 사업 계열 기술자의 교류의 장 조성 스마트 커뮤니티와 스마트 헬스케어, 자동차와 교통 시스템 등 중점 분야의 IT와의 융합을 고려하면 임베디드 계열과 사업 계열의 융합이 필수적이고 기술자 교류의 장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있는 다양한 연구회 등을 연찬의 장으로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2) 넓은 시야에서 요건을 정의할 수 있는 인재 육성 다른 분야의 요구를 파악하고 자신이 담당할 분야의 요건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 영역의 종사자를 불러 들여 요구를 듣고 파악하는 것도 효율적일 것이다. (3) 임베디드의 보안 문제 교육 정보 보안의 일반론과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특히 주의해야 할 관점을 명백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안 교육 중에는 이 관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이미 보안에 관한 강좌는 여러 개 있기에 그 교육 프로그램의 확충을 도모하는 것이 요구된다. [목차] 1. 조사의 배경ㆍ목적 및 조사 내용ㆍ방법 2.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 동향과 츄부지역의 특성 3.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산업의 기술 동향 4. 츄부 지역의 개발 지원 도구 이용 실태 5. 도구 이용 과제ㆍ장벽과 대책의 방향성 6. 츄부 지역의 개발 지원 도구 이용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089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