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촉진을 위한 지역 중소기업 #65381;IT기업의 실태 조사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4-23 00:00:00.000
내용 ○ 조사 개요 -지역 산업을 지지하는 중소기업에서는 글로벌화하는 경제 속에서 경쟁력 강화, 생산성 향상은 긴급 과제이고 그 과제 해결을 위해 IT를 활용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대용량 정보의 축적ㆍ분석 등에 의한 새로운 가치 제공 서비스 등이 급속하게 보급되었고 앞으로도 차세대 정보 처리 기반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비즈니스용 서비스 등이 더욱 보급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지역의 중소기업이 앞으로 IT 활용에 의한 경영의 고도화를 도모할 때에는 서버와 소프트웨어 등 IT 자원을 사용자가 스스로 관리하지 않고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만큼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대기업에 비해 정보 기술 지식과 활용 능력, 인재, IT 투자액 측면에서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해 경제산업성에서는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촉진을 축으로 연구회 활동을 통한 중소기업, 지역 중소 IT 사업자, 지역 중소기업 지원기관 등에 의한 협력체제 구축, 지역 중소 IT 사업자용 연수 실시 등 중소기업의 IT 활용을 촉진하는 환경 정비와 지역 IT 사업자의 IT 서비스 공급력 강화를 도모하는 사업에 대처하는 가운데 본 조사를 실시했다. 본 조사에서는 중소기업의 IT 활용 현재 상황과 과제, 지역 IT 사업자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상황과 과제 등을 조사해 지역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에 의한 경영 고도화를 위한 대책의 방향성을 검토한다. ○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활용의 방향성 1. 클라우드에 적합한 업무와 그렇지 않은 업무 구분 2. 클라우드 서비스의 좋은 점 활용ㆍ단계적 도입 실시 3. 모바일 단말의 보급과 활용 ○ 지역의 클라우드 활용 촉진을 위한 방안 1. 클라우드의 활용에 대한 이해 확대가 중요 수많은 클ㄹ우드 서비스가 계속해서 제안되고 이에 따라 정보 시스템의 방향과 데이터 활용 방식이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져오는 본질적인 성질 등에 대해 적절한 파악과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클라우드에 관한 연수회와 연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알고 사용해 평가하며 기업의 업무에 맞는 서비스를 취사선택하면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데이터 활용에 의한 클라우드의 이점을 최대화한 도입 클라우드 컴퓨팅의 최대 장점은 대량의 데이터를 단시간에 분석 처리해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황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량의 데이터 처리와 고도 데이터 마이닝 기술, 고도의 데이터 해석에 관계된 어플리케이션 등이 가까운 미래에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저렴한 가격에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이러한 서비스 도입과 활용이 기대된다. 3. 기업의 장벽을 넘어선 데이터 활용 모든 사업은 기업 간을 넘어서 연쇄화되어 있기에 기업 간 데이터 연계와 데이터 활용이효율적인 것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의 등장으로 이러한 기업 간 데이터 연계와 데이터 활용 시스템을 간단히 단기간에 구축할 수 있게 되어 각 기업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예상된다. 4. 저렴한 가격의 데이터센터의 필요성 기업 간 연계와 업계 단체에서의 공동 이용 등 IT 활용 또는 데이터 활용이 널리 전개되는 경우 데이터센터의 활용이 필수적이지만 현재 국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의 이용료는 외국계 클라우드 사업자의 이용료에 비해 비교적 높아 이용의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국가 시책을 포함해 시급히 저렴한 가격의 국내 데이터센터 실현을 위한 대책을 추진해야 한다. 5. 지역 중소 IT 사업자의 대책에 대한 기대 사업자 간 연계, 제안력 강화, 자사의 서비스를 가시화, IT 사업자의 IT 코디네이터화 6. 중소기업과 지역 IT 사업자를 연계하는 IT 코디네이터의 역할 IT 코디네이터는 지금까지의 지원 구조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한 최신 정보 파악과 효과적인 활용 사례 등의 정보 수집과 함께 IT 사업자의 서비스 내용 등 폭 넓은 지식이 필요하다. 지역의 중소기업에서는 이러한 IT 경영의 지원을 받을 시에는 공적 기관이 실시하는 전문가 파견을 활용하고 싶다는 의견이 많기에 IT 코디네이터는 다른 지역의 지원 기관 등과 연계해 IT 경영을 촉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1. 조사 개요 2. 중소기업 IT 사용자의 현재 상황과 과제 3. 지역 IT 공급 기업의 클라우드 비즈니스 상황과 과제 4.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사례 소개 5.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촉진을 위해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08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