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밀 작물 병충해에 대한 원격 관측을 보고하는 중국과학자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6-29 00:00:00.000
내용 최근 중국과학원 항공항천 정보연구원의 연구원 황문강(黄文江), 박사 동영영 (董莹莹) 및 그 연구팀은 중국 영어 두 언어로 선지구 밀병충해 외부에 원거리감측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보고는 국제적으로 처음 이루어진 원격 병충해 관측 보고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전세계 식량 생산국에서 주요 작물의 성장 시기에 있는 가운데 발생하는 병충해의 발생 및진행 상황에 대한 자료를 모아서, 2018년 4월에서 5월까지 전세계에서 밀의 중후기 성장 단계에 있는 10개의 생산국 (중국, 러시아, 프랑스, 터어키, 파키스탄, 미국, 독일, 이란, 우즈베키스탄 및 영국)에 대한 원격 관측이다. 이번에 이루어진 조사는 전세계 식량 생산국들에서 주요 식량 작물의 주요한 성장시기에 전형적으로 발생하는병충해의 발생 진행 상황에 대한 조사를 모은 것이다. 이러한 질병에는 밀의 녹병, 붉은 곰파이병과 진딧물 등이포함된다. 이 원거리 관측을 통해 이러한 질병의 공간적인 분포 피해정도 및 발생 면적 등에 대한 자료를 모으고분석하였다. 원격 관측을 통해서 밀 병충해는 위에서 서술한 10개의 국가에서 발생한 병충해는 가벼운 정도라고밝혔다. 중국에서 2018년 황녹병、껍질마름병、진딧물、붉은곰팡이병 밀병충해가 가벼운 상황으로 기존에 비해19.7%가 감소하였다.그 가운데 황녹병 발생면적은 1561만 무(1무-0.165에이커), 그 가운데 4월 초순에 서남, 서북 및 강한(江汉-무한의 강한구) 평원 등에서 병충해가 현저하다. 4월 중하순부터 5월 중순까지는 병충해가심해져서 황하와 화하(淮河)、화중 및 서남 밀 재배지역에서 확산되어 유행하게 된다. 껍질마름병 의 발생면적은 9939만 무이고 4월 초순에 주로 황하와 화하 와 화북 밀 재배지역에 나타난다. 4월 중하순에는 확산되어 유행하는데 주로 황하와 화하, 화북, 서북 밀 재배지역에서 5월 중순에는 병충해 성행시기에 도달하여 화중,화북 밀 재배지역에서 크게 발생하고 서북 밀 지배지역에는 가볍게 나타난다. 황문강 연구팀은 2012년부터 시작하여 중국 작물 병충해에 대한 관측을 포함해 예보 및 방제시스템의 구축 및체계적인 연구를 시작했다. 자체적인 연구개발 “작물병충해 원격 관측 및 예측 시스템”( http://www.rscropmap.com )을통해 온라인에서 병충해 사진이나 연구 보고를 올려놓는다. 미래에는 밀, 벼, 옥수수, 콩 등 주요 작물의 병충해에대한 관측 및 경고, 정기적인 전세계 작물 원격 관측 예보를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식량안전과 국가적 정책 수립을위한 과학적인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18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원격,밀,병충해 2. remote,wheat,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