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음식물쓰레기 감소를 위한 식품 추적 라벨 개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12-01 00:00:00.000
내용 우유병 속의 우유가 상할 경우 자동적으로 폐기처리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소비기한 라벨(use-by label)이 개발되어, 올해 말부터 영국 시장에 출시될 예정이다. 이러한 형태의 라벨은 신선식품이 상하는 정확한 시점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해 음식이 조기 폐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라벨 활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간 수백만 톤에 이르는 음식물 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EU지역에서 연간 8천 8백만 톤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는 일인당 약 173kg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것에 해당한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의 약 60%는 식용이 가능하며, 도매 및 소매업체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그 수치가 약 83%로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 같은 음식물 낭비의 주 원인 중 하나는 음식물 섭취 안전기한을 나타내는 식품 소비기한(use-by dates)을 둘러싼 우려다. 조사에 따르면, 부정확하고 혼란스러운 소비기한으로 인해 시중에 유통되는 식품의 5분의 1 이상이 불필요하게 폐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유럽의 많은 소비자들은 식품이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섭취를 권장하는 최상품질기한(best-before dates)을 소비만료일(expiry dates)과 혼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런던 Mimica社의 설립자인 Solveiga Pakštaitė회장은 “식품 라벨은 식품의 운송 및 저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않는다. 식품 공급자는 저온 저장 체인이 손상되는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오차 범위 내에서 체인망을 구축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즉, 공급망이 완벽하게 작동된다는 가정 하에서는 부패성 식품들이 실제로 상하기 전에 버려진다는 의미이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해 Pakštaitė회장은 음식의 신선도에 따라 변화하는 촉각 지표(tactile indicator)를 개발했다. 라벨에는 부착된 식품의 변화를 나타내는 생물학적 활성성분을 함유한 젤라틴 레이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라벨은 식품이 부패됨에 따라 젤라틴이 쪼개지면서 표면이 울퉁불퉁해진다. Pakštaitė회장은 촉감이 변화하는 레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값비싼 안료와 부식마크를 찾는 센서를 필요로 하는 색상변경라벨을 사용하는 것보다 저렴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젤라틴 라벨은 식품을 직접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것을 추정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생분해성 식품 트레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감소를 위한 새로운 솔루션을 개발하는 GLOPACK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GLOPACK 프로젝트는 라벨에 무선 칩을 내장하여 식품 부패도 추적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 (University of Montpellier)의 국제공동연구팀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식량과 관련된 여러 형태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GLOPACK프로젝트 연구팀은 라벨에 내장 된 무선 RFID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를 사용하여 휴대전화와 같은 장치에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개발 중이다. 이 태그는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 없으며 식품 포장 내부의 가스가 바뀌면 약한 전기 신호를 방출하는 식물기반 단백질 층으로 코딩이 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식품의 신선도 변화에 대한 정보를 판독기로 전송한다. 프랑스 몽펠리에 대학의 GLOPACK 프로젝트 매니저인 Veronika Peciarova는 “소비자들은 소비만료일(expiry date)에 맞춰 음식물을 폐기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소비만료일이 지난 식품을 절대 섭취해서는 안 된다고 보기 어렵다”며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식품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면 소비자 및 업체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8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소비기한,생분해성 식품 트레이,촉각지표,음식물 쓰레기,최상품질기한,소비만료일,라벨 2. expiry date,biodegradable food trays,tactile indicator,food waste,best-before date,use-by date,cold storage chain,lab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