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연료채널 1개를 시험적으로 제거한 체르노빌 원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11-13 00:00:00.000
내용 제어 및 보호계통 채널을 포함한 연료채녈 1개가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원전 1호기에서 원자로로부터 제거되었다. 이 작업은 원전 내 손상된 3기의 원자로를 해체하기 위한 계획을 개발할 목적의 연구로 시행된 것이다. 체르노빌 원전은 4기의 RBMK-1000형 원자로로 구성되어 있다. 1,2호기는 1970년 및 1977년 준공되었고 같은 설계를 가진 3,4호기는 1983년 준공되었다. 추가 2기의 RBMK형 원자로가 1986년 4호기에서 사고가 났을 당시 건설 중이었다. 2000년 12월 부지 내 마지막 원자로가 폐쇄된 후 2001년 중반 신규회사인 SSE ChNPP가 Energoatom사로부터 부지관리 및 폐로 작업을 물려받았다. RBMK형 원자로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는 각 연료집합체가 연료 채녈 또는 기술채널(technological channel)이라고 하는 개별 압력관에 장전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들 채널을 해체하고 처리하는 것은 해체작업 소요기간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체르노빌 원전 최종폐쇄 및 보존 2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현 프로그램 하에서 1,2,3호기 내 모든 연료채널, 제어 및 보호계통 채널을 제거하게 된다. 이 작업은 2028년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ChNPP사는 전체 4단계의 프로그램 중 2단계 수행기간은 각 호기 별로 이 채널제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고 밝혔다. 걱 호기에는 1661~1693개의 핵연료 채널과 227개의 제어 및 보호계통 채널이 있다. 제거된 채널의 파쇄는 업그레이드된 분쇄설비를 쓰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이 설비에서 분쇄, 포장되어 수송용기에 적재될 예정이다. 이 소요시간도 전체 해체작업 소요기간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현재는 하루에 2개 채널만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다. 우크라이나 의회는 2009년 체르노빌 원전 폐로프로그램을 승인한 바 있다. 지연 단계해체(postponed phased dismantling) 전략이 선택되었다. 총 4개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단계인 연료제거 및 폐로 준비작업이 2000~2015년 간 시행되었다. 현 2단계에서는 이온화방사선원이 제거되고 원자로와 오염된 대부분의 기기를 보존 처리하게 된다. 2단계는 2028년 완료하게 된다. 2045년까지 시행될 3단계에서는 일부 핵종의 자연붕괴를 통해 방사선준위가 낮아지기를 기다리는 단계다. 2064년까지의 마지막 4단계에서는 기기를 해체하고 부지를 정화하게 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78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연료 채널,체르노빌 원전,폐로 2. fuel channel,Chernobyl nuclear power plant,decommissi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