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 2009년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산출 분석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8-10 00:00:00.000
내용 一. 과학기술 투자 집중 업종 및 분야 분석 1. 과학기술 투자 집중 업종 2009 년 과학기술 투자 집중 업종을 살펴보면 제조업과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의 2 업종 (52.22%) 에 대한 자금 투자가 두드러졌다 . 2 업종에 대한 투자 상세 내용을 살펴보면 제조업 투자 자금 - 자유 자금의 56.64%, 은행 대출의 52.87%- 이 총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28%,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의 투자 자금 - 국외 자금의 48.42%, 은행 대출의 35.38%, 지방 투자의 19.04%, 부문 투자의 18.40%- 이 총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94% 로 집계됐다 . 자금 유형별 투자 편중 역시 두드러져 국가 투자 , 부처 투자 , 국외 자금은 전력 , 가스 수력 생산 및 공급업 ,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에 지방 투자는 교통 운송 , 저장 및 우정업 ,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에 기금 투자는 위생 , 체육 및 사회 복리업에 자유 자금과 은행 대출은 제조업에 대한 편중도가 심했다 . 2. 과학기술 투자 집중 분야 2009 년 응용 기술 성과 과학기술 투자 집중 내용을 살펴 보면 신재료 , 신에너지 및 고효율 절약 에너지 , 생물 bull; 의료 기기 분야에 대한 자금 투자가 58.12% 로 가장 두드러졌다 . 3 분야별 자금 투자 상세 내역을 살펴보면 신재료 분야가 총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6.45%, - 국가 투자의 33.39%, 자유 자금 투자의 26.27%- 로 집계됐고 신에너지 및 고효율 절약 에너지 분야 투자가 20.86% 그리고 마지막으로 생물 bull; 의료 기기 분야 투자가 10.81%- 기금 투자의 88.96%, 현( #21439;) 급 투자의 51.68%, 부처 투자의 16.67%- 로 집계됐다 . 二. 업종 및 분야별 과학기술 투자 효과 분석 1.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산출 집중 업종 비교 2009 년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응용 업종의 성과 산출 분포 비율을 살펴보면 자금 투자가 가장 집중된 업종으로는 제조업과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이 , 성과 산출 집중 업종으로는 위생 , 사회 보장 및 사회 복리업 , 제조업 ,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 , 과학 연구 , 기술 서비스 및 지질 조사 업종으로 집계됐다 . 자금 투자 비율이 성과 산출 비율보다 높게 나타난 업종으로는 제조업 , 주민 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업 , 정보 전송업 , 컴퓨터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업 , 전력 가스 수력 생산 및 공급업 , 교통 운송업 , 저장 및 우정업 분야로 그 비율은 각각 20.1, 7.32, 4.68, 3.54, 3.15% 로 집계됐다 . 성과 산출 비율이 자금 투자 비율보다 높게 나타난 업종으로는 위생업 , 사회 보장 및 사회 복리업 , 과학 연구업 , 기술 서비스 및 지질 조사업 , 농 bull;임 bull;목 bull;어업 , 도매 및 소매업 분야로 그 비율은 각각 15.46, 9.59, 5.11, 4.23% 로 집계됐다 . 2.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산출 집중 분야 비교 분석 2009 년 하이테크놀로지 업종에서의 과학기술 투자 및 성과 산출 분포 비율을 살펴보면 자금 투자는 신재료 , 신에너지 및 고효율 절약 에너지 , 생물 , 의약 및 의료 기기 분야에 집중됐다 . 특히 자금 투자는 신재료 , 신에너지 및 고효율 절약 에너지 2 분야에 집중 됐고 2 분야의 자금 투자 비율은 성과 산출 비율보다 각각 15.28, 13.5% 높았다 . 성과 산출 비율이 자금 투자 비율 보다 높은 업종으로는 생물업 , 의약 및 의료 기기업 , 농업 , 전자 정보업 , 광전기 기기 일체화 업종으로 본 4 업종의 성과 비율은 자금 투자 비율보다 각각 13.2, 8.3, 7.34, 4.87% 높았다 .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23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