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성별에 따른 나노물질 반응에 대한 비교 연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3-21 00:00:00.000
내용 미국 조지아 공대(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캐나다 맥길 대학(McGill University), 이란 샤히드 베헤쉬티 대학(Shahid Beheshti University)의 연구진은 성(性)의 차이가 나노입자 섭취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입증했다. 나노입자를 이용한 임상 연구는 나노입자에 대한 큰 성공에 비해서 거의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세포와 나노입자 간의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세포의 기능은 정의된 특성을 그대로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연구진은 세포 분비 및 신호 전달 경로에 기능하는 세포가 숙주의 성별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성(性)의 영향은 나노물질을 임상적으로 적용하는데 어렵게 한다. 남성과 여성으로부터 채취한 세포는 유동 세포 계측법(flow cytometry), 공초점 현미경,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서 양자점 흡수 정도가 측정되었다. 또한 양자점이 단백질 코로나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했다. 액틴 필라멘트(actin filament) 구조에 대한 연구로 성별의 차이가 나노물질의 반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여성 태아의 양막 주머니에서 채취한 hAMSC와 남성의 것과 비교했을 때 양자점 흡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hAMSC는 줄기 세포의 초기 소스 중의 일부이다. 이번 연구진은 남성 섬유 아세포의 경우에 여성에 비해서 양자점 흡수가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나노크기 센다이 바이러스(Sendai virus)의 흡수에서도 성별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이것은 줄기 세포가 다른 세포로 분해될 수 있기 때문에 큰 의미를 가진다. 즉, 나노물질을 이용한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써 손상되거나 질병이 있는 세포를 대체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나노바이오 분야에서 세포 성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간과되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이것이 매우 필요하고, 나노물질을 인간에게 적용되기 위해서는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ACS Nano에 ldquo;Effect of Cell Sex on Uptake of Nanoparticles: The Overlooked Factor at the Nanobio Interface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021/acsnano.7b06212).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39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나노물질; 양자점; 성; 나노바이오 2. nanomaterial; quatum dot; gender; nanob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