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간질을 이해하는데 실마리를 주는 뇌 단백질과 유형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8-15 00:00:00.000
내용 연구자들이 간질과 불안과 연관된 신경세포 활성을 조절하는데 어떤 뇌 단백질이 가장 영향이 클지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더 나은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길을 닦아줄 것이다. 그 연구는 Nature Communications 에 실렸다. 그 연구는 신호전달을 제어하는 뇌에 있는 세포들의 특화된 ldquo;구획(compartment) rdquo;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그 구획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면, 뇌 세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서, 그 결과 발작을 멈추거나 예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 연구자들은 활성의 유형을 조절하는 것은 뇌의 기능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뇌가 어떻게 활성을 유형화하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면, 뇌 활성이 통제불가능해지는 간질과 같은 질병에서 그것이 어떻게 잘못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제어하는데 무엇이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면, 간질 발작이나, 아마도 불안이나 수면 장애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질병을 가진 사람들을 치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더 나은 전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은 두 가지 중요한 단백질들 mdash;GABAA 수용체 a2 하부단위(GABAA receptor a2 subunit)과 콜리비스틴(collybistin) mdash;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정량적으로 정의함으로써 뇌파 조절에 대한 의문을 풀고자 해왔다. 설치류 모형에서 그 상호작용이 교란되면, EEG 검사는 뇌파가 통제를 벗어나, 불안증이나 간질을 가진 사람에서 보이는 유형과 비슷하게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교과서를 바꿀 수 있을 것이다. 그 연구는 두개의 단백질 사이에 매우 특이적인 상호작용이 있다고 강하게 제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신경학자들이 이 영역을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데 의미가 있다. 그 연구 결과는 새롭고 더 효과적인 간질의 치료법으로서 GABAA 수용체 a2 하부 단위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38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간질; 불안; 뇌세포; GABAA 수용체 a2 하부단위; 콜리비스틴; 뇌파; 뇌 단백질 2. epilepsy; anxiety; compartment; GABAA receptor a2 subunit; collybistin; EEG; brain wave; brain prote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