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영국,기술의 도전에 대응하는 법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03-28 00:00:00.000
내용 기술의 도전에 대응하는 법 이 보고서는 2007년과 2010년 사이의 초, 중등학교의 디자인과 기술(D T) 과목 조사 결과다. 조사는 이들 과목이 국가 교과과정(National Curriculum)의 목표와 높은 수준의 성취에 얼마나 맞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보고서의 A 부분은 학생의 성취, D T 준비의 질, 학교에선 이들 과목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관리되는지를 살펴보고, B 부분은 급격한 기술 변화에 학교가 어떻게 속도를 따라잡는지와 학생들이 장래를 준비함에 있어서 틀에 박힌 성역할 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에 초점을 맞춰, D T의 주된 도전에 집중한다. 학교가 직면한 큰 문제는 D T 교육과정의 현대화로, 학생들이 혁신적인 신물질을 배우고 이것들이 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중등 교육과정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은 근본적인 개선 사항이고 학생들이 기술이 진보한 사회에서 유능한 구성원이 될 자신감을 갖게 하려면 필수다. 우수한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은 현대의 물질과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작용하고 그것들을 이용해 어떻게 디자인하고 만드는지를 알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학생들은 자신들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설계하고,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학생들은 기술이 어떻게 세상을 바꾸고 현재의 과학기술 발달이 어떻게 다른 변화를 가져올지를 잘 이해했다. 많은 교사들은 기술의 발달을 따라잡지 못하거나 커리큘럼이 요구하는 기술적인 문제를 가르치는데서 그들이 받은 초기 교육 내용을 확장할 줄 몰랐다. 검사관들이 방문한 89개 초등학교 중에서 54개의 초등학교에서는 D T 성취가 훌륭하거나 뛰어났다. 초등학교 2/3에서 관찰된 결과는, 좋은 교육은 꼼꼼한 준비와 도전적인 실습(practical tasks) 때문이었다. 67개 학교 중에서 절반이 안되는 학교에서만 ICT 기술이 D T에서 잘 활용되었다. D T에서 모든 학생들의 요구는 최고 수준의 초중등학교에선 잘 충족되었다. 특별한 교육적인 요구가 있거나 학습능력이 부진하거나 성취도가 떨어지는 학생들을 개인적으로 지원하자 큰 발전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설계하고 제품 만드는 일, 문제 해결과, 자신들의 생각이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즐겼다. 초등학교 학생의 D T 작업은 중학교에서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이전에 무엇을 했는지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이런 연속성의 결핍은, Key Stage 3의 커리큘럼 계획을 약화시켰다. 학생들은 D T 작업이 너무 쉽고, 수준이 낮거나 이전 것과 똑같다고 말했다. 중등학교에서의 D T 성취는 초등학교에서 보다 더 다양했다. 방문 학교 89개 학교 중 절반이 약간 안되는 수의 학교가 훌륭하거나 탁월했다. 9개 학교의 성취는 아주 뛰어났다. 4학교는 부실했다. Key Stage 4에서 교사자격증(GCSE) 획득은, D T 선택 여부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차이가 컸다. 초등학교에서처럼 중등 교원도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최신 기술에 관한 교육이 포함되어 있는 중등 과정에서 탁월하게 가르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가르치는 분야에 새로운 것을 충분히 훈련할 시간이 없었고, 경험 있는 사람들은 지식을 업데이트하는 데 게을렀다. 이로 인해 Key Stage 3의 커리큘럼이 Stage 2처럼, 시대에 뒤졌다. 중등학교의 1/3 정도가D T를 가르칠 때 전자 기구, CAD, CAM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영국의 교육이 세계의 기술 변화를 따라잡으려면 학생들을 가르칠 때, 전자공학을 새로운 재료와 어떻게 결합할 것인지 혹은 식품 공학을 비롯해 모든 과목에서 통제 시스템을 어떻게 적용할지 같은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혁신을 배우도록 장려하고 현대의 물질이 어떻게, 왜 작용하는지를 실질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학교를 이끌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핵심 발견 권고사항 1. 도입 2. 기술적인 도전에 대한 대응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10090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