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중국 고기술인재 진흥계획 실시방안 발표 ○ 출처: 2011-11-03 ○ 원문1: http://www.mohrss.gov.cn/page.do?pa=402880202405002801240882b84702d7 guid=43396e0f0d714440ad1f72eb9691a2dc og=8a81f0842f8ffbb7012f95d3fa9d05b6 og=8a81f0842f8ffbb7012f958d9d8d036a ○ 원문2: http://www.gov.cn/jrzg/2011-11/03/content_1985594.htm ○ 배경 - 최근 중국 인사부와 재정부가 공동으로 을 발표했다. - 국가 고기술인재 진흥계획은 경제발전을 전환하고 산업구조를 업그레이드하며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조치이다. - 은 lsquo;엔지니어 육성 rsquo;, lsquo;고급 엔지니어를 중심으로 직업기능과 소양을 끌어올리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혁신능력을 갖춘 수준높은 기능인재를 육성 rsquo;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내용 1. 3대 주력 프로젝트를 나란히 추진한다. - 에 따르면 중국은 lsquo;엔지니어 육성 rsquo;, lsquo;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 rsquo;, lsquo;엔지니어 작업실 구축 rsquo;이라는 3대 업무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한다. (1) 엔지니어 육성 프로젝트 - 경제발전 방식 전환을 가속화하고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촉진하며 업계와 기업, 직업학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혁신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엔지니어를 육성한다. - 2011~2020년, 중국은 350만 명의 엔지니어, 100만 명의 고급 엔지니어를 새롭게 육성하고 엔지니어 총 인원수가 1000만 명에 이르게 할 것이다. - 그 가운데 중국 정부는 중점적으로 50만 명(매년 5만 명)을 지원함으로써 경제사회의 수요와 인재를 필요로하는 업계를 위하여 고급 엔지니어로 육성할 것이다. (2)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 프로젝트 - 지역경제 발전, 산업 진흥발전 계획,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수요를 고려하여 10대 진흥 산업과 전략적 신흥산업을 위주로 고기능인재 육성 능력을 갖춘 직업훈련 기관과 도시 공공 직업 기능 훈련기지에 위탁하거나 고기능 인재 육성 기지를 구축하여 고기능 인재의 연수와 훈련, 평가, 경쟁 시험, 연구개발, 성과 교류 활동을 담당하게 할 것이다. - 2011~2020년, 1,200여 개의 고기능 인재 육성 기지를 구축할 것이며, 이는 중점 산업과 중심 도시를 아우르는 고기능 인재 육성 네트워크를 형성할 것이다. - 그 가운데서도 2015년 말까지, 중국 정부는 400여 개 고기능 인재 육성 기지를 중점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한다. (3) 엔지니어 작업실 구축 프로젝트 - 고기능 간부급 인재가 기능을 전수하고 기능을 확보하며 보급하기 위해서 각급 정부와 업계, 기업이 생산, 서비스를 아우르는 우수 기능 인재를 선발하여 그 소속 기관에 엔지니어 작업실을 구축하게 함으로써 훈련과 연수, 기술확보, 교류 등의 활동을 담당하게 할 것이다. - 그 가운데 2020년 말까지, 국가는 1000여 개의 엔지니어 작업실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여 중점 업계, 특수 업계를 아우르는 기능 전수 및 보급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2. 지역과 업계별로 임무를 분해한 뒤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 의 요구에 따라 중국 고기능 인재 진흥계획은 2011년에 시작하여 2015년 말에는 중간 평가 단계를 거치게 되고, 2020년 말에는 총체적인 목표를 완수하게 된다. (1) 엔지니어 육성프로젝트의 단계적 실시 계획 - 2011년, 중국은 엔지니어와 고급 엔지니어 육성 임무를 각 지역, 업계에 나누고, 2015년 말에 과반수 이상의 임무를 달성할 방침이며, 2020년에는 전체 육성 임무를 완수할 것이다. (2)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의 단계적 실시 계획 - 2011년, 중국은 경제사회 발전의 수요와 업계의 수요를 고려하여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업무를 시작할 것이다. - 2015년 말, 국가가 중점적으로 지원한 400여 개의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업무가 마무리된다. - 각 지역과 업계는 공동으로 지역과 업계가 중점적으로 지원한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 건설업무가 마무리된다. - 2020년 말, 1,200개 고기능 인재 육성기지의 건설임무가 마무리 되어 최종 평가를 거치게 된다. (3) 고기능 인재 작업실 관련 업무의 단계적 실시 계획 - 2011년, 일부 지역과 업계를 선택하여 엔지니어 작업실 관련 업무에 착수한다. - 2015년 말, 엔지니어 작업실 건설이 500여 개가 마무리 되고, 프로젝트 임무는 과반수 이상이 중간 평가를 거치게 된다. - 2020년 말, 전체 1000여 개 엔지니어 작업실 건설 프로젝트의 임무가 마무리 되고 관련 부문은 최종 평가를 전개하게 된다. - 지역별, 업계별로 각자 중점 지원한 엔지니어 작업실 건설업무를 마무리한다. 3. 조직 보장, 경비 보장,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 에서는 관련된 조직보장, 경비보장을 위해 필요한 기술지원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 계획의 실시현황을 감독, 평가하는 메커니즘을 수립하고 감독 검사를 강화하며 정기적으로 업무에 상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연구한다. - 중앙의 인재 업무 협조TFT의 지도 하에 인사부는 재정부, 교육부, 국유자산관리감독위원회 등 부처와 공동으로 lsquo;국가 고기능인재 진흥계획 협조TFT rsquo;를 구성하고 계획의 일괄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지도, 감독, 관리한다. - 전국의 고기능인재 진흥계획의 경비 보장 메커니즘을 완비하여 각급 정부가 투입을 확대, 재정 자금의 선두적 역할을 충분히 발휘함으로써 업계와 기업, 사회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계획에 필요한 경비가 제때 집행되게끔 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