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제조업의 연구개발 효율성 비교 분석(국가 및 산업)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6-03 00:00:00.000
내용 독일경제연구소(Das Deutsche Institut f r Wirtschaftsforschung, DIW)는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13개 유럽 국가 및 4개의 비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제조업 분야별 연구개발 효율성을 분석하였다(한국 포함). 분석에 있어 R D 지출액으로 측정되는 지식 스톡과 인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중 기술 노동력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연구개발 효율성에 따라 분석 대상 국가들을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는데, 소규모 경제를 가진 국가들(덴마크. 벨기에 등)이 매우 높은 수준의 연구개발 효율성을 보인 반면에 대규모 경제를 가진 국가들(영국, 프랑스 등)의 연구개발 효율성은 이에 뒤처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효율 그룹: 독일, 덴마크, 미국, 네덜란드, 벨기에, 아일랜드, 핀란드 - 중효율 그룹: 이탈리아, 스웨덴, 일본, 호주, 프랑스 - 저효율 그룹: 한국, 영국, 스페인, 폴란드, 체코 산업 수준에서, 기술선도를 결정할 때 전기 및 광학 장치 분야가 가장 중요한 산업인 것으로 나타났고(효율성 점수 0.638), 그 뒤를 기계산업(0.591)이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분야별로 효율성 점수가 높은 국가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전기 및 광학장치산업: 네덜란드, 독일, 미국, 핀란드 - 기계산업: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 고무 및 플라스틱 산업: 네덜란드, 핀란드 - 화학산업: 독일 주요 산업분야별 한국의 효율성 점수를 살펴보면(최대값 1) 화학산업 0.47(네덜란드 1위), 기계산업 0.53(이탈리아 1위), 전기 및 광학장치산업 0.5(미국 1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총산출물에서 위의 세 산업이 차지하는 분야가 22.34%로 아일랜드(57.16%) 다음으로 매우 높게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화학산업: 10.76%(아일랜드 26.83%가 최고) - 기계산업: 7.04%(독일 12.58%가 최고) - 전기 및 공학장치산업: 22.34%(아일랜드 28.69%가 최고) 본 연구는 제한된 자원 내에서 가능한 투자를 통해 가장 큰 산출물을 산출할 수 있는 산업에 우선순위를 두고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 www.ndsl.kr (GTB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TT2009001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