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본 보고서는 지구관측그룹 (The Group on Earth Observations, GEO) 의 2007-2009 년 수립 계획을 통한 전지구관측시스템 ( Global Earth Observation System of Systems, GEOSS) 발전에 필요한 과학과 기술의 역할에 대해 고찰한다 . 과학 , 기술 관련 지식과 연구는 통합된 지구시스템의 이해를 위한 중대 사항이기 때문에 , 본 보고서를 통해 미래의 잠재적 파트너와 유관기관에 전지구관측시스템과 과학 , 기술의 중요한 관계 및 전지구관측시스템의 사회적 편익에 대해 알리고자 한다 . 전지구관측시스템 구현을 위한 지구관측그룹의 비전은 조정되고 , 포괄적이며 지속적인 지구관측과 관련 정보를 통해 인류의 편익에 필요한 장래의 결정과 행동을 실현하는 것이다 .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 , 기술 , 연구 분야의 발전이 요구되고 , 이에 상응하여 전지구관측시스템이 그 발전을 도모할 것이다 . 지구관측그룹의 과학기술위원회는 전지구관측시스템 이행계획 업무를 감시하고 더 많은 과학단체들의 참여를 필요로 하는 전지구관측시스템의 과학적 , 기술적 조건을 식별하기 위해 다른 지구관측그룹 위원회와 교류한다 . 또 여러 개별 환경관측과 통합된 지구시스템 프로세스의 연결성 , 그리고 9 개 사회 편익 분야 ( 기상 , 재난 , 해양 , 기후 , 농업 , 건강 , 생태계 , 물 , 에너지 ) 의 상호의존성으로 인해 통합된 과학기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전지구관측시스템 10 개년 이행계획은 과학과 기술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면서 통합된 지구관측시스템 개선을 위해서는 과학연구와 기술개발이 요구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 10 개년 이행계획 참고문서에 언급된 전지구관측시스템을 위한 과학과 기술의 역할은 지구관측그룹 이니셔티브의 핵심인 4 가지 일반적 원칙으로 정리된다 . - 현존하는 국가나 지역 관측 활동의 국제적 통합 - 여러 사회적 편익 분야에 유익한 연구 활동 - 통합된 지구관측시스템을 위한 연구 활동 - 지구관측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활동 전지구관측시스템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국제협력 연구 프로그램으로는 다음 5 가지가 있다 . -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 (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 WCRP) - 지구생물권국제 공동연구 (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IGBP) - 지구환경변화에 대한 국제 인간차원 프로그램 ( International Human Dimensions Programme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IHDP) - 국제생물다양성계 (DIVERSITAS, an International Programme of Biodiversity Science) - 지구시스템과학 파트너쉽 ( Earth System Science Partnership, ESSP) 전지구관측시스템에 과학이 공헌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 - 과학적 결과를 토대로 이뤄지는 관측 활용 - 학문의 연결과 복잡한 이슈에 관한 토론 - 기상 예보 능력 향상을 위한 모델 개발 - 새로운 관측과 측정 기술 개발 - 데이터의 관리 , 프로세싱과 시각화 지구관측그룹 수립 계획의 과학적 , 기술적 측면을 해결하는 것은 전지구관측시스템의 사회적 편익에 대해 이해하고 정치의식을 고취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 본 보고서를 통해 더욱 많은 과학자들과 연구 기관들 그리고 자금 취급 기관들이 전지구관측시스템에 공헌해 줄 것을 장려한다 . 또한 변화하는 지구 환경과 통합된 지구시스템 , 지구관측그룹의 사회 편익에 대한 이해로 , 전지구관측시스템 구축을 위한 과학 단체의 깊은 관여를 촉구한다 . 1. 비전 2. 통합된 과학과 기술 3. 전지구관측시스템을 위한 과학 기술 4. 전지구과학시스템과 과학 5.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