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2011년도 기초 에너지 과학 요약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2-01-15 00:00:00.000
내용 본 보고서는 BES 의 활동을 요약한 2011 년도 보고서이다 . BES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연구와 과학 이용자 시설의 성질 , 그리고 이것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또 본 보고서는 BES 가 지원하는 과학 연구의 중요한 업적을 알리려고 마련한 몇 가지 메커니즘들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 처음에 등장하는 개요 편에서는 BES 가 어떻게 조직되어 있고 , 재료와 에너지를 이해하고 예측하고 궁극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진행되는 기초 연구를 어떻게 지원하면서 신 ( 新 ) 에너지 기술의 토대를 구축하고 있는지에 대해 적었다 . 또 본 보고서는 2011 년에 이루어 낸 새로운 과학의 발견도 몇 가지 추려 소개하며 , BES 의 전략적 기획 수립과 연구 , 이용자 시설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는 참고자료도 풍부하게 소개한다 . BES 는 중추적인 연구 프로젝트 1,400 여 개와 , 에너지 프런티어 연구 센터 (Energy Frontier Research Center: EFRCs) 46 곳 , 태양광 에너지 연료 혁신 허브 등에 2011 년 한 해 동안 대략 7 억 달러를 투자했다 . 투자 범위는 170 곳이 넘는 대학 ㆍ 비영리 ㆍ산업 연구소와 , 에너지 부 (DOE) 의 연구소 14 곳을 아우른다 . 또한 강 (intense) X- 선 소스 , 중성자 산란 센터 , 전자 빔 특성화 센터 , 나노급 과학 연구 센터와 같은 과학 이용자 시설에도 지원을 하고 있다 . 이들 시설에 지원하는 연간 운영 예산은 대략 76,000 만 달러에 이른다 . BES 의 기초 과학 지원은 미국의 21 세기 에너지 도전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하다 . 기초 연구가 기술의 성숙ㆍ배치로 발전하는 데 기여할 연구 분류 (research classification) 도 개발했다 . 제 3 쪽의 그림을 보면 , BES 의 포트폴리오 대부분이 거대 도전과제와 , 발견 , 사용 고려 (use-inspired) 등의 3 개 카테고리 안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 3 개 카테고리가 공유하는 하나의 측정 기준 (metric) 은 바로 새로운 과학 지식을 창출하는 것으로 , 실험의 성공과 실패 모두로부터 지식을 습득하고 , 계산 및 가설 테스팅을 통해서도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일컫는다 . 태양광 에너지 연료 혁신 허브가 BES 포트폴리오 상에서 독특한 자리를 차지하는 이유는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를 의도적으로 통합하여 , 태양 연료를 생산하는 상업적 시스템 개발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 또 BES 는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기초 연구 활동의 전반에서 발생하는 니즈를 적절히 처리하기 위해 몇 가지 양상 (modalities) 을 사용하고 있다 . BES 에게 가장 중요한 연구 영역에서 종합대학 포트폴리오는 연구자 (investigator) 1 인에게 지급하는 보조금이 압도적이지만 , 팀에 수여하는 상도 수두룩하다 . BES 는 실험실의 연구가 연구자 개개인이 진행하는 프로젝트를 한 데 모아 놓기 보다는 시너지를 창출하면서 여러 명의 연구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관리하라고 요구한다 . 이렇게 되면 , BES 가 지원하는 에너지부의 실험실 프로젝트가 국가가 보유한 실험실 역량을 독창적으로 활용하되 , 종합대학의 개별 연구자에게 보조금이 중복 지급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 BES 의 태양광 에너지 연료 혁신 허브 ━ 인공 광합성 공동 센터 (Joint Center for Artificial Photosynthesis: JCAP) ━ 는 규모가 매우 크고 다학제적 성격을 띠는 R D 센터이다 . 선임 연구원이 50 명 가량 근무하고 있는데 , JCAP 는 캘리포니아 기술 연구소와 DOE 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 실험소가 제휴를 체결한 것으로 , 다른 연구소들과 대학들도 참여하였다 . 목차 국장의 서한 BES 의 개요 BES 의 사업 방식 연구 포트폴리오 및 이용자 시설 - 재료 과학 ㆍ 공학 부 - 화학 ㆍ지구공학ㆍ생명과학 부 - 과학 이용자 시설 부 - 에너지 프런티어 연구 센터와 에너지 혁신의 허브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2001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