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장내 미생물 불균형, 코로나19 중증 악화 요인 가능성”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21-01-14 00:00:00.000
내용 장내 미생물 불균형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중증으로 악화하는 요인일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희남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는 지난 1년간의 코로나19 유행 기간 축적된 연구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장내 미생물 불균형과 이로 인한 장 누수가 코로나19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의견은 미국미생물학회(ASM)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엠바이오'(mBio)의 ‘견해'(PERSPECTIVE)란에 게재됐다. 김 교수는 장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서 장 건강이 악화하고, 이때 바이러스가 장의 표피와 내부 장기에 접근하면서 코로나19 감염이 중증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장내 미생물 불균형으로 인한 장벽기능 약화가 장 누수를 유발하면서 코로나19 감염을 악화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의료계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불리는 장내 미생물 균총이 인체 생리 현상과 면역 등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장내 유익균은 줄어들고 병원성 유해균은 많아지는 등 미생물들 사이 균형이 깨지면 다양한 만성 질환을 유발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장내 미생물 불균형은 장벽의 항상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장의 내벽 세포에 접근하고, 심한 경우 장벽을 통과해 핏속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외 연구 결과가 장 건강과 코로나19 예후 사이의 연관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고혈압, 당뇨병, 비만 등 만성질환을 앓거나 고령일 때 코로나19 감염이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보고되는데 이들은 모두 장내 미생물이 건강하지 않다”고 봤다. 그는 “최근 연구에서 코로나19 환자의 경우 장내 유익한 세균은 감소하고 병원성 세균은 증가하는 등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며 “코로나19 감염과 장내 미생물을 연결 짓는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SCTM002165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