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야간 시야 증강 기기를 개발한 중국과학자들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6-16 00:00:00.000
내용 중국 남서쪽 운남성의 과학자들이 기존의 기기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밤에 시야를 증강시키는 칩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지난 6월 14일 Applied Physics Letters논문 최근호에 발표되었다. 야간 시야 기기들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이미지 증강 기술을 통해 보이지 않는 적외선 광자들을 보이는 광자들로 전환한다. 이 기기는 이 과정에서 약 5% 정도 도 우수한 전환율을 보인다고 이 연구를 주관했던 운남대학의 물리학과 He Shoujie교수는 말했다. 정 4각형 모양의 칩은 한 면이 12 mm정도 되는데 서로 이어진 두 개의 OLED사이에 빛에 대해서 반응하는 완충 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기기들보다 더 많은 photo-carrier를 잡아낼 수 있어서 눈에 보이는 광자를 만들어내게 된다고 He교수는 말한다. He교수는 이러한 칩을 이용하면 의료 이미징 기술에 적용하여 진단에 사용할 수도 있고, 어떤 지역을 야간 관찰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중국 남서쪽 운남성의 과학자들이 기존의 기기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밤에 시야를 증강시키는 칩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지난 6월 14일 Applied Physics Letters논문 최근호에 발표되었다. 야간 시야 기기들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이미지 증강 기술을 통해 보이지 않는 적외선 광자들을 보이는 광자들로 전환한다. 이 기기는 이 과정에서 약 5% 정도 도 우수한 전환율을 보인다고 이 연구를 주관했던 운남대학의 물리학과 He Shoujie교수는 말했다. 정 4각형 모양의 칩은 한 면이 12 mm정도 되는데 서로 이어진 두 개의 OLED사이에 빛에 대해서 반응하는 완충 층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기존의 기기들보다 더 많은 photo-carrier (전자나 홀)를 잡아낼 수 있어서 눈에 보이는 광자를 만들어내게 된다고 He교수는 말한다. He교수는 이러한 칩을 이용하면 의료 이미징 기술에 적용하여 진단에 사용할 수도 있고, 어떤 지역을 야간 관찰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기기는 on/off 스위치가 가능하며 광자-광자 전환율이 높다. 다양한 조건들을 최적화하여 연구자들은 효율을 높였다. 픽셀이 없는 적외선 이미징 칩을 개발하였다는 것이 이 연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캐나다 토론토대학의 Lu Zheng-Hong이 함께 참가하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413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