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알츠하이머병에서 새로운 뇌세포 생성의 역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9-02 00:00:00.000
내용 연구자들이 유전성 알츠하이머병에서, 새로운 뇌 세포가 만들어지는 신경 형성(neurogenesis)라고 불리는 과정이 어떻게 뇌 자체의 면역 세포들에 의해서 교란될 수 있는지를 보였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에 대한 많은 연구는 그 병이 진행되면서 뇌에 축적되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Aß)에 집중한다. 과량의 Aß는 뇌 세포들 사이이 의사소통을 교란시키고 염증을 일으키는 플라크(plaques)를 형성해서, 결국 신경세포와 뇌 조직의 광범위한 손실로 이어진다. 일찍 발병하는 유전성 알츠하이머병 중 일부는 PS1(presenilin 1)과 PS2(presenilin 2)라고 불리는 두 가지 유전자에서의 돌연변이에 의해서 발생한다. 이전 연구에서, 운동하고 놀고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건강한 쥐들은 기억에 중요한 뇌의 부위인 해마에서 새로운 뇌 세포들이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PS1과 PS2에 돌연변이를 가진 쥐들은 같은 환경에서 새로운 뇌 세포의 증가를 같은 수준으로 보이지 않았다. 그 쥐들은 불안증세도 보이기 시작했다. 그 연구자들은 시냅스를 수리하고 죽어가는 세포를 파괴하고 과량의 Aß 단백질을 청소하는 일종의 뇌의 면역 세포인 소교 세포에 초점을 맞췄다. 그들이 소교 세포를 죽게 하는 약물을 쥐에게 주자, 신경 발생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그 돌연변이를 가진 쥐들을 같은 환경에 놓자, 기억 손실이나 우울증의 신호를 보이지 않았고, 정상적으로 기대되는 수의 새로운 신경세포를 만들었다. 연구자들은 이 경우에 소교 세포가 면역계 역할을 과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보통 소교 세포에 염증을 일으키는데, 소교 세포가 프레세닐린 돌연변이를 가진 새로운 뇌 세포를 만났을 때, 과잉반응해서 너무 이르게 죽여버릴지도 모른다. 소교 세포의 역할에 대한 이 발견은 알츠하이머병의 생물학을 이해하는데 새로운 중요한 길을 열어준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3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아밀로이드 베타; 신경 발생; 뇌세포; 알츠하이머병; 소교 세포; 2. amyloid beta; Aß; neurogenesis; microglia ; presenilin 2 ; presenilin 1; PS1; PS2; Alzheimer's disease; neurons; brain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