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성간 물질에서 발견된 풀러렌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1-31 00:00:00.000
내용 칠레 북부 가톨릭 대학(Catholic University of the North)과 러시아 과학원 특별 천체 관측소(Special Astrophysical Observatory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의 연구진은 성간 공간에서 풀러렌을 찾는데 성공했다. 풀러렌은 적색 거성에 의해서 발출되는 성간 구름과 성간 물질에서 발견되었다. 풀러렌(Fullerene)은 1970년대에 해리 크로토(Harry Kroto)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 풀러렌은 매우 강력한 산화 방지제이고, 항바이러스제로 사용된다. 특히, 항-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anti-HIV) 특성이 새롭게 발견되었다. 그 외에도 반도체와 심지어 고온 초전도체로서 사용된다. 최근에 조사된 적색 행성의 기상(gas-phase)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서 성간 물질 속에 C60+ 양이온이 존재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문제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다. 첫 번째는 관심 파장 범위가 지구 대기의 수증기로 인해서 심하게 오염되었다. 두 번째는 C60+의 주요 스펙트럼 밴드 중의 하나가 Mg ii 라인과 혼합되어서 분리하기가 어려웠다. 이런 두 개의 문제는 높은 해상도와 높은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고려되었다. 이 물질을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현재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지금까지는 거의 그램 단위로 생산되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는 흑연 전극 아크 프로세스이다. 풀러렌의 존재를 확인한 성간 구름은 지구로부터 약 1,000 광년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망원경 중의 하나인 칠레의 VLT 망원경으로 전자기 스펙트럼을 조사했고, 특정 주파수에서 흡수 라인을 남기는 풀러렌을 발견할 수 있었다. 풀러렌을 함유한 성간 구름과 풀러렌이 함유되지 않는 성간 구름을 비교함으로써 환경적 매개변수가 이러한 분자의 형성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정 성간 구름에서 분자들이 흥분된 상태로 존재하고 일부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풀러렌의 형성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Royal Astronomical Society에 ldquo;C60+ ndash; looking for the bucky-ball in interstellar space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https://doi.org/10.1093/mnras/stw2948).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36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풀러렌; 버키볼; 성간 공간; 우주 2. fullerene; bucky ball; interstellar space;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