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오늘의 핵 에너지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7-19 00:00:00.000
내용 오늘 날, 핵에너지는 전 세계 전기 공급의 17% 정도를 담당하고 있다. 처음 미국에서 전기 발전에 사용한 이후, 영국(1953), 러시아(1954), 프랑스(1956), 독일(1961)이 먼저 전기 발전에 이용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에는 10개국 이상이 더 핵 기반 에너지 생산에 뛰어들었고, 1970년대에는 이 외에 10개국이 더 뛰어들었다. 1970년대 초 발생한 오일 쇼크로 핵발전소 건설 주문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그러다가 세계 경제가 침체기에 접어들어, 화석 연료의 가격이 하락하는 바람에 핵에너지 주문 열기가 한풀 꺾였다가, 미국(1979)과 구 소비에트 연방(1986)에서 핵 안전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대중은 핵에너지의 안전성에 큰 의구심을 갖게 되었으며, 1990년대 핵에너지 성장에 찬물을 끼얹는 계기가 됐다. 그럼에도 일부 국가들은 핵 반응기 건설에 열을 올리고 있어, 핵 전기의 생산량이 소폭 증가하고는 있다. 2003년 1월 1일 현재, 핵 반응기 441개가 상업 가동이 되고 있으며, 발전 능력은 약 357 GWe net로, 세계 전체 에너지의 7%를 공급하고 있으며, 전기는 17%를 공급하고 있다. OECD 국가에서는 17개국에서 핵 반응기 356개가 상업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발전 능력이 약 306 GWe net에 달하고, 에너지 공급량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다(전기 공급은 약 24%를 차지함). 또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핵 반응기 34개가 건설되고 있어, 순 발전 능력이 27 GWe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오늘 날 온실 가스가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알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탄소 감축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더불어, 오일과 천연가스 자원이 소수 공급처에 집중돼 있어, 공급 확보에 대해 우려하는 분위기이다. 핵에너지는 탄소 배출도 없고, 연료 자원도 전 세계적으로 비교적 고루 분포해 있다는 점이 주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10년 간, 에너지 이용성으로 측정되는 핵발전소 성능을 개선해나가고 있는 추세다. 이 때문에 최근 다수의 국가들은 기록적인 전기 생산을 해내고 있다. 예를 들어, 2001년에 이와 같이 기록적인 발전성과를 보인 국가들로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불가리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인도, 대한민국, 러시아, 스페인, 스위스, 미국이었다. 목차 서문 소개 1 오늘의 핵에너지 대강 보기 2 핵에너지의 기본 원리 3 핵에너지의 연료 주기 4 방사능 폐기물의 관리 5 핵 안전 6 방사능 보호 7 핵에너지의 경제학 8 국제 핵법과 핵 비확산 9 핵에너지와 지속가능한 발전 10 핵에너지의 미래 결론 용어 추가 정보 그림/표/사진 목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14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