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미국 정부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자력 에너지의 안전한 이용을 강구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우려하는 것은 핵 물질이 테러리스트의 손에 들어가는 것이다. 지난 2001년 5월 28일 스웨덴에서 열린 국제학회에서 전세계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국제적인 밀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각국은 이러한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해 더 많은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이 말했다(GTB2001060066). 핵물질의 밀반입을 막기 위하여 미국 에너지부 산하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은 최근 뉴질랜드, 캐나다와 핵물질의 확산을 방지하는 협약을 발표하였다. 지난 5월 7일, 협약 하에서 뉴질랜드는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의 제 2 선 국방 프로그램에 서명하였으며 우크라이나 지역에서 핵 남용 방지를 위해 46만 달러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또한 같은 날 캐나다 정부는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과 협약을 맺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의 핵 비남용 작업을 위해 약 600만 달러를 제공한다고 밝혔다(GTB2007050287).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의 제 2선 국방 프로그램은 외국 정부들과 협력하여 세계의 국경, 항만 및 공항에서 방사성 물질 탐지 장비를 설치하고 핵 및 기타 방사성 재료들을 찾아내는 인력을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 이 프로그램은 100여 개 이상의 지역에서 장비를 설치해 왔다. 최근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의 활동으로서 앞으로 4년안에 러시아의 모든 공식 국경 (공항,항만, 철도 및 육상 국경)에 핵 물질의 밀반입이나 밀반출을 막기위하여 방사능 물질 탐지 장치가 설치된다. 6월 1일 미국과 러시아는 이러한 내용의 협약을 맺고 미국 에너지부의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과 러시아 공화국 세관 서비스가 이 설치 작업에 예산을 부담하기로 하였다. ( http://www.nnsa.doe.gov/docs/newsreleases/2007/PR_2007-06-01_NA-07-21.htm ) 이 새로운 협약하에서 미국과 러시아는 안전 비용의 각각 절반씩을 충당하며 모든 국경이 2011년 까지 설치가 완료된다. 이 협약은 또한 러시아가 미래에 이 장비의 유지와 보수를 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계획도 포함한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은 장비의 유지와 보수를 러시아측에 점진적으로 넘길 것이다.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은 제 2선 국방 프로그램을 통해 러시아 세관 서비스와 협력하여 고정 방사성 물질 모니터 장치를 350여개 국경 지대에 설치하고 있다. 러시아 세관 서비스는 2006년도에 러시아에서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이 제공한 고정 모니터링 장치와 휴대용 장비를 통하여 5만 번의 반응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반응들 중, 불법적인 핵 및 방사성 물질의 검출 건수는 480건 이상에 달하였으며, 러시아는 방사성 조절 장치의 설치를 1996년도부터 시작했다. 한편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은 방사성 물질을 찾아내고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장비의 개발을 시작했다고, 5월 31일 밝혔다. ( http://www.nnsa.doe.gov/docs/newsreleases/2007/PR_2007-05-31_NA-07-20.htm 에서 요약 ) 에너지부 산하 브루크헤이븐 국립 연구소가 국립 핵 안전 보장 행정국의 재정 지원을 받아 수행하는 이 연구는 방사성 물질 탐지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개선된 센서는 실온에서 작동되어 기존의 것들보다 더 실용적이고 비용대비 효과적이다. 비슷한 성능의 현재의 탐지기들은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여 액체 질소를 사용하므로 더 비싸고 사용하기 어렵다. 새로운 센서는 또한 위험한 폭탄이나 핵 물질등과 같은 재료에서 나오는 방사선을 더 정확히 측정할 수있다. 상당한 효율과 정확성의 향상으로 이 새로운 장비는 또한 방사선을 내뿜는 해롭지 않은 다양한 물질들을 핵 위협과 구분하게 해줄 것이다. 이 새로운 센서는 카드뮴 아연 텔루라이드라 불리는, 현재의 컴퓨터 칩에 쓰이는 실리콘과 아주 비슷한 결정을 사용한다. 브루크헤이븐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현재 상용화된 고품질의 결정 재료들을 탐지기 생산 설계와 결합하여 새로운 센서를 만들어 낼 것이다. * yesKISTI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