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마이크로 RNA를 이용한 암 전이 막는 유전자 치료법 개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6-09-28 00:00:00.000
내용 마이크로 RNA (miRNA)는 특이적으로 생물 유전자 발현을 제어하는 역할이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게 되었는데 식물, 동물, 바이러스 등에서 발견되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작은 비발현 RNA 분자이다. 주로 RNA silencing 과 전사 이후의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기능을 한다. 마이크로 RNA는 복잡한 여러 단계를 거쳐 생성된다. 포유류 마이크로RNA의 50% 이상은 다른 유전자의 인트론 부분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마이크로 RNA는 대부분 그 해당 유전자 transcription를 통해 생성되고 나머지 유전자간 (intergenic) 영역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RNA는 독자적으로 전사된다고 알려졌다. RNA polymerase II 에 의해 전사된 1차 마이크로 RNA 전구체 (primary miRNA precursor; primiRNA)는 nucleus 내에서 RNase III의 일종인 Drosha 단백질에 의해 60~100개 뉴클레오타이드 길이의 머리핀 (stem-loop) 구조를 가지는 secondary miRNA precursor; pre-miRNA로 가공 된다. 이때 cofactor 로 DGCR8 단백질이 관여한다. 이렇게 생성된 pre-miRNA는 Exportin5 (Exp5) 단백질에 의해 cytoplasm 로 배출되어 또 다른 RNase III의 일종인 Dicer 단백질에 의해 miRNA-miRNA duplex로 된다. 이 과정에 TRBP 단백질과 PACT 단백질이 참여하고 최종 마이크로 RNA 가닥 (mature miRNA strand) 을 선택해 RISC (RNA induced silencing complex) 로 전달된다. RISC에 loading 된 마이크로 RNA는 표적 mRNA에 서열 특이적인 결합을 이끄는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 마이크로 RNA로 유방암의 전이를 막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미국 MIT 공과대학 Natalie Artzi 박사 연구팀에 의해 Journal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쥐 실험에서 암세포 전이를 일으키는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는 마이크로 RNA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한다. 마이크로 RNA와 유방암 세포가 결합해 있는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 부분을 분석해 암세포 전이와 관련된 rs1071738 단백질을 발견했다. rs1071738는 유방암 전이를 일으키는 Palladin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는 마이크로 RNA miR-96과 miR182가 유방암 세포와 결합을 방해 암세포의 전이를 촉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이크로 RNA를 이용하여 rs1071738의 기능을 차단하고 유방암 조직으로 효과 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쥐의 유방암에 있는 팔라딘의 발현율을 떨어뜨려 유방암의 전이를 효과적으로 막는 결과를 얻었다. 더구나 이 방법은 항암치료제 cisplatin과 병용 시 더 뛰어난 효과를 가져왔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600054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암 전이, 유전자 치료법, 항암화학요법, 병용 요법 2. Gene therapy, cancer metastasis, Gene-regulating R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