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코로나 판데믹 이후, 디지털 헬스는 기존의 보건의료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솔루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의료행위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디지털 헬스는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 지출의 합리화 등 여러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실제로, 원격 의료를 통한 만성 질환의 예방 및 모니터링과 같은 활동은 의료행위가 질병의 치료에서부터 질병의 예방으로 관점이 변화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4시간 접근가능성, 이메일 및 SMS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용이성 등 환자중심의 의료행위를 보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 헬스 전문가들은 디지털 헬스가 기존의 보건의료시스템을 전부 대체하는 데는 무리가 있으나, 인구의 고령화, 의료서비스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 필요성 등 새로운 공중보건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상당부분 기존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디지털 헬스의 도입에 있어서 전문가들은 개인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존 의료데이터의 통합화 등 여러가지 선행과제들에 대한 해결이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최근의 코로나 판데믹으로 인해, 의료접근성이 떨어지는 도서지역의 주민들 뿐만 아니라 인구가 밀집한 지역 거주민들 역시 의료센터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어려워짐에 따라 디지털 헬스의 필요성은 앞으로 더욱 크게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