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전자책 플랫폼 접근성 조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정보서비스 동향지식 포털
작성일자 2014-10-28 00:00:00.000
내용 우리는 지난 가을 Publishers Accessibility Action Group 과 함께 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그것은 플랫폼 제공업체와 관련된 접근성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Sarah Hilderley와 Alistair McNaught는 여러 대학교에 제공하는 13개의 대규모 업체와 연락하여 최종 사용자의 관점에서 접근성에 대해 묻는 간단한 설문조사에 참여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최근까지 그 결과를 수집· 분 석하기가 어려웠다. 아마 일부 플랫폼의 세부사항은 지난 9개월 동안 업그레이드되었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결과분석은 올해 초에 접근성 플랫폼을 스냅샷한 것을 다룰 것이다. 13개 업체 중 7개 기관은 데이터를 제공하며 답변을 주었다. 우리는 적극적이고 정직한 참여를 한 다음의 기관을 칭찬하고자 한다. 정직한 7개 업체에 감사한다. 그들은 ` ACLS Humanities E-Book`, `Gale/Cengage`, `EBL (ebrary)`, `EBSCO`, `Elsevier`, `Emerald Insight Ingram`이다. ` Cambridge University Press` 는 접근성 향상을 위해 새로 디자인하는 중이기 때문에 현재 플랫폼에서 얻는 결과를 가지고 말하기에는 어렵다고 했 다. 이것은 정당한 이유로 판단되어 배제했 다. 그러나 다른 5개의 유명한 대규모 회사들의 무응답에 실망했다. 독자들이 살펴보고자 했던 전자책 플랫폼이 있지만 이 자료에서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회사에 직접 문의해야할 것이다. 이 설문조사는 다음의 세 가지 주제를 다뤘다. - 외관 및 시각적 요소 : 최대 폰트 크기, 확대할 때 reflow(참고 : 기기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폰트의 크기에 따라서 문서의 레이아웃이 동적으로 변하는 기능을 말함) 하는 능력, 색상/대비 조정 기능, 대체 텍스트의 유용성 - 탐색 및 정보 : 키보드로만 조작가능한 기능, 탐색 옵션, 쉬운 영어로 된 접근성 안내문, 접근성 연락처. - 도구, 테스트, 검색 :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호환성, 보조 기술 테스트, 사용 가능한 포맷, 접근성 메타데이터. 우리는 독자들이 이 내용에 대해 각자의 관점을 말해주기를 바란다. 외관 및 시각적 요소 확대기능(Magnification) 은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는 않았다. 대부분의 플랫폼에서의 접근성은 선택된 포맷에 좌우된다. 예컨대, MyiLibrary는 EPUB 포맷에서는 잘 수행되지만, PDF는 reflow가 되지 않았다. PDF는 온라인 플랫폼을 위한 포맷인 만큼 다양한 확대기능이나 여러 디바이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reflow가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지만 변화가 느리다! Elsevier가 Science Direct 플랫폼은 HTML을 선택한 것에서 외관 및 시각적 요소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를 받았다. ebrary 플랫폼은 reflow 텍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특별한 `이용하기 쉬운 모드(accessibility mode)`를 제공한다. 이것은 색상/대비 조정을 명쾌하게 제공하지 않지만 OS에서 변경 사항을 조정한다. 이미지 기반의 PDF가 사용된 플랫폼(예컨대 ACLS Humanities E-Book )에서는 확대가 가능했지만 reflow나 색상 조정이 되지 않았다.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Alternative text on images) 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Emerald , Cengage와 ACLS Humanities E-Book 에서 이 기능이 제공되고 있었다. Elsevier 는 `대체 텍스트`를 가지고 있지만 모든 이미지에 대해 캡션을 하지는 않았다. 캡션의 품질에 따라 이것이 완벽하게 적합한 대체물이 될 수도 있다. ebrary 와 EBSCOhost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는 것은 출판사와 유통업체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강조했다. Emerald Insight는 이 섹션에 대해 가장 인상적인 주장을 했다. 당신은 어떤 경험을 했는가? 최근에 개선된 플랫폼이 있는가? 탐색 및 정보 이 섹션은 플랫폼과 콘텐츠를 둘러보는 것과 이용 가능한 특별 기능을 아는 것에 대한 내용이다. - 연락처 및 안내 : 모든 응답자가 웹사이트에서 연락처를 제공하고 있었고, MyiLibrary를 제외한 모두가 접근가능성 지침 페이지를 제공했다. 이들은 모두 유용하고 실제적이었다. ACLS Humanities E-Book , ebrary, EBSCOhost는 스크린리더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텍스트 전용 버전 콘텐츠를 제공했다. 이는 시각장애인을 위해서는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색상을 변경하거나 난독증 텍스트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도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의 요구 또한 충족시킬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라. Cengage의 Mindtap 플랫폼은 다운로드가 가능한 사용자 친화적 접근성 조언 가이드를 제공한다. Mindtap과 EBSCOhost 모두 Voluntary Product Accessibility Template(VPAT) 를 제공한다. VPAT는 기술전문가 보조 및 기술 지원 직원을 위한 혜택을 담은 기술적 문서이다. 그러나 이것을 사용자 설명서의 대체물로 간주하지는 말아야한다. EBSCOhost와 Emerald Insight는 둘 다 훌륭한 쉬운 영어 안내문을 제공하지만, 그들이 테스트한 테크놀로지의 범주가 협소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인상적인 접근성 지침은 상세하고, 사용자 친화적이며, 아이패드 등 테스트에 언급된 다양한 테크놀로지로 잘 구조화된 Elsevier 의 Science Direct 플랫폼이다. - 탐색 : 모든 응답기관이 목차와 챕터별로 탐색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특히 Cengage MindTap, Elsevier, Emerald Insight는 스크린리더 사용자에게 중요한 장점인 표목 및 부표목(heading and subheading)으로도 탐색이 가능하다. 적절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출판사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접근성에 중점을 둔 aggregat or가 이것을 출판사의 필수사항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 Keyboard only access : 7개 응답자 중 5개 만 이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명확하지 않은 것은 이 응답이 데이터베이스 홈페이지의 접근에 관한 것인지 검색자들에 의해 겉으로 드러난 콘텐트에 대한 것인지의 여부이다. 키보드 접근성 기능을 제공한다고 응답한 기관조차도 간단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제적 작업의 수는 큰 난관이 될 수도 있다. 도구 테스트 및 발견 설문조사의 마지막 부분은 사용 가능한 포맷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 및 스크린리더와의 호환성을 조사했다. 모든 응답기관이 스크린리더에 액세스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모든 기관이 텍스트의 음성 변환 기능(Text To Speech, TTS) 이 작동한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미묘한 주제다.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클립보드에 복사할 수 있다면 그것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여러 가지 도구로 작동할 수 있지만,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가 텍스트의 10%만 복사하도록 제한한다면 책의 90%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MindTap은 타사의 텍스트 음성 전환 도구와 호환될 뿐만 아니라 내장된 리더(ReadSpeak)를 갖고 있었다. EBSCOhost HTML 문서는 스크린리더(Screenreader) 에 액세스 할 수 있었지만 내장된 리더로 인해 모든 사용자들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액세스 할 수 있었다. EBSCOhost PDF 파일은 PDF/스크린 리더의 호환성 문제를 우회하여 대체 텍스트 스트림을 통해 스크린리더에 액세스할 수 있었다. PDF는 다운로드 된 버전들이 뷰어의 접근성 제한 대상이 되기 때문에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에서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DRM이 이 기능을 해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Adobe Acrobat Reader나 어도비 디지털 에디션이 접근성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처럼 말이다. 또한 우리는 장애인의 접근성 요구에 적합한 제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접근성 메타데이터 에 대해 질문했다. 포맷 은 이미지 pdf, 스캔한 텍스트(OCR) PDF, 표준 텍스트와 이미지 PDF, HTML, EPUB 등이다. 여러 플랫폼은 각 특성에 따라 여러 포맷으로 된 다양한 내용을 aggregate한다. 접근성이 이 분야에서 기본적 욕구충족 요건이 될 때 진정한 혁신이 도래할 것이다. 플랫폼 제공업체가 EPUB3 같이 접근하기 쉬운 제품 을 요구하고 출판사가 더 접근하기 쉬운 유통 플랫폼 을 요구한다면, 우리는 몇 가지 현실적인 변화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서관이 모든 이용자를 위해 더 접근하기 쉬운 경험 을 요구하지 않는 한, 변화에 대한 동기는 거의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접근성 메타데이터 는 콘텐츠 aggregator 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한 응답기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은 도서 출판사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출판사들은 전자 텍스트의 접근성 기능을 서술하는 Onix codelist 196( http://www.bic-media.com/dmrn/codelists/onix-codelist-196.htm )을 제공하지만 응답기관 중 누구도 이것을 언급하지 않았다. EBSCOhost와 Emerald Insight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잠재적으로 접근성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EBSCOhost는 그들의 전자책 포맷으로 된 모든 책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당신이 적절한 방법을 안다면 EPUB33 또는 HTML을 검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검색 프로세스는 아직 인터페이스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 보조 기술 도구를 사용한 테스트 측면에서, Elsevier 는 스크린리더, 키보드로만 조작 , 화면 확대를 포괄하며 넓은 범위의 다양한 테스트를 했다. 2014년 하반기에 ebrary는 그들의 현재 JAWS와 VoiceOver 테스트에 NVDA 테스트를 추가할 예정이다. 결론 설문 응답기관의 종합 결과는 다음과 같다. - 7개 주요 제공기관은 정보요청에 대한 응답하는 시간을 들여 접근성에 대해 충분이 알고 관리하고 있다. 접근성은 기관마다 범위가 다양하지만 모두 이 문제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이점과 문제점에 대해 솔직하다. 이들은 이 부분에 대해 계속 투자하고 있으며 필요한 곳에 개선을 요청하고 있다. - 플랫폼 접근성에 대한 쉬운 영어로 된 가이드는 TechDis가 수행한 2010년에 연구 이후 분명히 개선되었으며 접근성 연락처는 각 플랫폼에서 이용가능했다. - Reflow를 겸비한 확대기능은 다수의 플랫폼에서 이용 가능하였으며 이미지에 대한 대체 텍스트는 응답기관의 절반 정도가 가능하다고 했다. - 키보드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은 다수의 플랫폼에서 제공한다고 하였지만 많은 플랫폼에서 그 실행의 품질을 확신하기는 어렵다. - 특별한 스크린리더를 이용할 필요로 하긴 하지만, 전체 응답기관이 스크린리더 접근성을 제공한다고 응답했다. 더 좋은 플랫폼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을 권장한다. - 태그된 표목과 부표목을 통한 더 넓은 네비게이션이 필요하다. - EPUB3나 HTML과 같은 포맷은 일관된 reflow기능, 확대기능, 색상 조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 전자책 분야에서 접근성 부분에 대한 압력을 가하여 특정한 플랫폼에 있는 모든 책이 이미지 디스크립션과 메타데이타와 관련하여 동일한 접근성 표준을 따르도록 할 필요가 있다. - DRM의 더 나은 실행을 한다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도구를 위해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과 같은 타당한 접근성 필요조건을 약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 플랫폼의 접근성 기능에 대한 명확하고 실제적인 이용자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용자가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만큼 훌륭한 가이드 말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WT20141006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전자책 ; 접근성 2. ebook ; platform ; acces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