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 MIT, 주요기반 사이버보안을 위한 다학제간 연구 추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5-25 00:00:00.000
내용 미 MIT 대학의 다학제간 연구조직인 인터넷 정책연구 이니셔티브(Internet Policy Research Initiative, IPRI)는 초기 인터넷 정책 및 사이버보안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그룹을 선정하여 150만 달러에 달하는 재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IPRI의 설립자이자 MIT 대학의 컴퓨터공학 및 인공지능연구소(Computer Sci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CSAIL) 수석연구과학자인 다니엘 위츠너(Daniel Weitzner)는 각각의 연구 프로젝트는 개별영역의 혁신적인 연구를 지원하고 정책결정자들이 인터넷 정책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초기 자금은 5개의 다학제간 연구 프로젝트에 투입되는데, 그 수여 대상은 MIT 대학캠퍼스의 Sloan School of Management, 도시연구 및 계획과(Department of Urban Studies and Planning, DUSP), 그리고 CSAIL 등의 연구진들이다. Sloan School의 경제학자인 앤드류 로(Andrew Lo)와 CSAIL의 컴퓨터과학자인 비노드 바이쿤타나단(Vinod Vaikuntanathan)은 체계적인 사이버보안 위험을 측정하기 위한 프로젝트 비용을 받았다. 암호를 연구하는 바이쿤타나단은 사이버공격의 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고 정량화하며, 이를 해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진은 다자가 참여하여 안전하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시장과 기업들에게 알려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한 정보를 보다 원활하게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위츠너는 주요 인프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이버보안 위험과 그 불편함을 이해하는 것이 정책결정자들로 하여금 적절한 인센티브 방안을 강구토록 하고, 이를 통해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치명적인 피해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CSAIL의 수석연구과학자인 하워드 슈로브(Howard Shrobe)는 물 관련 네트워크와 운송 시스템에 중점을 둔 도시 인프라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고 보호하는데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연구에 펀딩을 받을 예정이다. 도시 인프라의 사이버보안을 개선하기 위해 그는 인프라를 공격목표로 하는 해킹을 ldquo;공격 그래프(attack graphs) rdquo;를 통해 자동적으로 판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그는 또한 스마트 시티를 보호하기 위한 지역 정책과 결합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예정이다. Sloan School의 경제학 교수인 사이몬 존슨(Simon Johnson)과 IT 관리부문 학자인 스튜어트 매드닉(Stuart Madnick)은 국제무역에 미치는 사이버보안의 영향을 연구하는데 펀딩을 받을 예정이다. 그들은 인터넷과 연결된 제품의 스파이웨어와 말웨어에 대한 정부 사용과 관련된 위험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그들은 정책결정자들이 자신들의 결정에 따른 잠재적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고위험 제품, 장기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표준 등과 같은 이슈를 연구할 예정이다. Sloan School의 강사인 신탄 바이쉬나프(Chintan Vaishnav)와 CSAIL의 수석연구과학자인 카렌 솔린스(Karen Sollins)는 인도의 ldquo;스마트 rdquo; 시티에서 시민 대상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해 연구할 예정이다. 해당 연구팀은 인도의 325개 도시에 대한 디지털 거버넌스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비정부 기관인 eGovernment Foundation과 함께 도시 행정 거버넌스를 개선하는데 있어 기술과 분석도구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 협력할 방침이다. 이들은 오픈 데이터의 보안과 프라이버시의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 새로운 관리시스템과 공개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 모든 연구는 정부서비스의 개선에 일정정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DUSP의 교수인 로렌스 서스킨드(Lawrence Susskind)는 펀딩 재원을 도시 인프라에 대한 공격자와 협상을 벌이기 위한 사이버 가이드북을 만드는데 사용할 예정이다. 주요 인프라와 시설에 대한 공격이 지속되고 있어, 관리자와 시설 운영자들은 실시간으로 공격자들과 지속적인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서스킨드 교수는 공격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위해 도시 기반 관리자들과 협력할 계획이다. 역자의견: 사이버공격이 물리 공간의 위협으로 크게 확대되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한 다학제간 연구와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이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 충분한 전문 연구 인력을 충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21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사이버공격; 주요기반시설; 다학제간 연구 2. Cyber attack; Critical infra;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