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농업의 미래를 밝게하는 중국의 대형 농업 프로젝트 결과 발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3-09 00:00:00.000
내용 수백만의 중국 농부들이 참여한 10년이 넘는 대형 실험을 통해 과학적 증거에 기초하여 지속가능한 방식을 통한 농업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ldquo;이렇게 큰 스케일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이 매우 신나는 것이다. rdquo; 1958년 모택동은 전국적으로 정치적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이를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농기구를 공유하고 작은 농장들을 묶어서 협동 농장 체제를 만들어 놓은 것이다. 이것은 재난이었고 수천 만이 기아에 허덕이게 되었다. 그러나 이제 과학이 성공하고 이데올로기는 실패하였다. 거대한 규모의 10년이 넘는 실험에 수백만 명의 농민이 참여한 결과가 이번 주에 네이처 잡지에 발표가 되었다. 이 논문에서 중국 과학자들은 중국의 소규모 농민들이 과학적 근거에 농법을 도입하여 농업을어떻게 효율화하는 지에 대해서 보고하였다. (Z. Cui et al. Nature http://dx.doi.org/10.1038/nature25785; 2018). 여기에는 농기구를 공유하는 것도 필요하지 않고, 다만 각 지방의 조건에서 농업의 필요에 따라 얻어진 과학적인 자료를 모은 것이다. 2005년에서 시작하여 2015년까지 계속된 프로젝트에서 관개, 농작물의 종류, 파종의 깊이 등이 어떻게 농작물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였다.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지역에 걸쳐 가장 좋은 방법 (best practice)를 찾아서 보급하였다. 예를 들어 중국 남쪽에서는 1제곱 미터의 땅에 20개의 벼의 씨앗을 심게 하였다. 이는 기존의 농부들이 훨씬 덜 밀도 있게 심던 것에 비해 많이 심은 것이다. 그 결과 옥수수, 쌀, 밀의 생산성이 11% 상승하였고 사용하던 비료의 양은 작물의 종류에 따라15~18%줄었다. 농부들은 돈을 덜 들이고 더 많은 돈을 벌게 된 것이고 앞으로 계속 그렇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뿐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더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희망을 갖게 한다. 25억의 적은 규모의 농부들이 경작하는 땅이 60%에 달한다. 이 프로젝트는 그 외에도 여러 가지 교훈을 우리에게 준다. 첫째 과학적인 접근법이 생산성을 높이고 환경에 대한 피해를 줄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이러한 성공은 경제학자들이 무형(intangible)이라고 부르는 것-예를 들면 정보를 확산하고 과학자들이 필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에 투자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중국에서 이루어진 프로젝트의 스케일은 매우 인상적이다: 1,200명의 과학자가 참여하고, 65,000명의 지방 관리들, 140,000 산업계 종사자, 2천백만 명의 농부가 3천8백만 헥타르에서 실시한 프로젝트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에 사람들-이 경우에 지방 정부의 테크니션과 관리들-을 참여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이러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경제적 혹은 환경적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들에게 들어가는 비용보다 혜택이 더 많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많은 나라들에서는 이러한 일자리들과 이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네트워크가 효율성이라는 이름으로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교훈은 원칙적으로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곳에서 농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쉽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잘 갖추어진 인프라와 중앙에서 효율적인 조정을 관장할 수 있어서 이렇게 거대한 프로젝트가 가능했다. 이러한 모양이 접근을 통해 혜택을 입을 수 있는 인도와 아프리카는 이러한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를 중국 넘어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쉽지 않을 것이다. 네째, 이 프로그램은 모니터가 되고 계속 업데이트를 해야 한다. 여러 권장 사항들은 각 특정 지역의 농부들의 필요에 따라 미세 조정이 되어야 하며 기후 환경이 변하기 때문에 권고 사항도 따라 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성공을 공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농부와 과학자들이 계속해서 권장하는 방법들을 변화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중국은 이 프로젝트에 더 추가하여 2억의 소규모 농부들이 정보망에 들어와 이 권장사항들을 적용해야 한다. 연구자들은 현존하는 그러나 별도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21개의 성에서 여러 가지 농작물에 대해 진행중인 Science and Technology Backyard 플랫폼이다. 농업과학자들이 마을에 살면서 농부들에게 더 좋은 기술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농부들이 계속해서 배워야 한다는 것이다. 농부들은 병충해 방제의 새로운 기술이나 비료대신 콩과식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워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현존하는 기술을 잘 사용하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권장 사항 가운데서 어느 것도 농경제학자들에게 새로운 것은 없다. 그러나 참여한 과학자들은 이러한 비전을 갖고 프로젝트가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공로가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거대한 규모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 큰 차이를 만들어낸 것이다. 가장 좋은 작은 연구들에서 할 수 없었던 것을 이루어낸 것이다. 저 산골짜기의 시골 농부를 설득하여 농업 방법을 바꾸도록 설득하여 효율과 생산성을 높인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387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농업,네트워크,지속가능 2. Agriculture,Network,sustain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