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최초의 바이오메탄 시험용 생물반응로를 설치한 미국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10-14 00:00:00.000
내용 미 에너지부(DOE) 산하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ESIF(Energy Systems Integration Facility) 연구원들이 남가주가스회사(SoCalGas, Southern California Gas Co.)와 협력하여 콜로라도주 Golden에 있는 시설에 power-to-gas 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새로운 생물반응로(bioreactor)를 설치했다. 이 부지에 설치된 높이 7.6미터에 달하는 생물반응로는 미국에 설치된 것으로는 최초다. 이 반응로는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 중 남는 전기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먹고 메탄을 배출하는 미생물을 이용해서 신재생 천연가스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계획이다. Power-to-gas 기술은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해서 물을 분해해서 수소를 발생시키는 전기분해기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 수소는 이산화탄소와 함께 바이오메탄 반응로로 공급되어 여기에서 특별한 미생물에 의해 신재생 천연가스(RNG, renewable natural gas)로 변환된다. 이 RNG는 현재 천연가스가 사용되는 모든 곳에 사용될 수 있다. Lawrence Berkley 국립연구소가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2025년에는 3,300~7,800 GWh에 달하는 태양광 및 풍력발전으로부터 나오는 전력이 남아돌게 된다. 만약 이 남아도는 에너지를 바이오 메탄화 프로세스를 통해 메탄으로 변환해서 신재생 천연가스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면 158,000~ 370,000 가구에 충분한 열을, 80,000~187,000 가구에 충분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파이롯트 프로젝트는 에너지 저장을 위한 power-to-gas 기술의 상업적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MW 규모의 시스템 설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수소에서 메탄으로 변환되는 효율을 측정하고 저장된 메탄을 다시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도 모색하게 된다. 또한 power-to-gas 기술이 대량의 신재생에너지를 1년까지 저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을 시험하고 배터리를 이용한 전력 저장방식과의 성능 및 비용 면에서의 비교도 이뤄질 계획이다. SoCalGas 측은 Power-to-gas 기술은 잉여 신재생에너지를 경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의 총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의 한계인 낮과 밤의 제약을 에너지 형태의 변환을 통해 뛰어넘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31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생물반응로,미생물,전기분해기,신재생 천연가스 2. bioreactor,microorganism,electrolyzer,RNG(renewable natural g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