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대학교 12-5 과학기술 발전계획 (* 환율 : 런민비 1 위안 = lt;/spa 한화 약 179.97 원 / 2012.03.28 기준 ) 1. 11-5 기간 대학교 과학기술 발전현황 및 향후 수요 (1) 대학교의 자주혁신 능력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 - 대학교에 국가급 과학기술 혁신플랫폼이 141 개 신설되었으며 국가 중대과학기술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2 개 추진되었으며 국가의 16 개 중대 프로젝트 연구 임무에 참여했고 , 국가의 lsquo;973 계획 rsquo; 과 중대 과학연구 계획 프로젝트의 50% 이상을 수주했으며 , 국가 자연과학기금위원회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를 80% 이상 수주했다 . - 대학교 과학기술 총경비는 2006 년의 457 억 위안 ( 한화 약 8.2 조 원 ) 이었는데 2010 년에 이르러서는 그 수치가 940 억 위안 ( 한화 약 17 조 원 ) 으로 성장했다 . (2) 수준높은 혁신 인재 육성 , 영입 능력이 현저하게 높아졌다 . - 11-5 기간 , 대학교 연구개발 인재는 2006 년 26 만 명이었던 것이 2010 년에는 32 만 명으로 늘어났다 . - 신규 선발된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연구원 가운데 대학교 출신이 각각 56%, 41% 에 달했다 . (3) 산학연 협력이 지속적으로 심화되었다 . - 11-5 기간 , 대학교는 하이엔드 디지털 시스템 , 레일교통 제어 , 전기자동차 등 중대과학기술을 확보했다 . - 기술 유도형 산학연 전략적 연맹 , 공업기술 연구소 , 국가기술 이전시범 기구 , 업계 공유기술 플랫폼 등을 형성했다 . - 이를 통해 대학교가 권한을 위임한 특허 수는 총 115,489 건에 달해 연평균 40% 의 성장세를 보였다 . (4) 국제 과학기술 협력 및 교류활동이 활발해졌다 . - 2010 년도 대학교가 수주한 국제 과학기술 협력 프로젝트는 2006 년 대비 100% 성장했으며 , 파견 인원과 접수인원도 2006 년 대비 각각 71%, 65% 성장했다 . - 국제 학술회의에 참석한 인원 수나 국제 학술회의에 제출한 논문 수량 , 특별 초빙 보고 인원수 , 국제 학술회의 개최 수는 2006 년 대비 각각 83%, 53%, 28% , 24% 늘어났다 . 2. 12-5 기간 , 대학교 과학기술 발전 목표 (1) 기초연구와 첨단 기술 연구를 통한 원천혁신 능력을 강화한다 . (2) 핵심 공유기술 공급 능력을 현저하게 끌어올린다 . (3) 수준 높은 인재 육성과 영입 능력을 더욱 강화한다 . (4) 과학기술 혁신 메커니즘을 부단히 완비한다 . 3. 대학교 과학기술 혁신능력 전면 제고 (1) 원천 혁신 능력을 끌어올린다 . (2) 국가의 전략적 수요에 서비스하는 능력을 적극 배양한다 . (3) 전략적 자문 연구능력을 배양한다 . (4) 국제 과학기술 협력 능력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 4. 대학교 과학기술 체제 메커니즘 개혁 심화 (1) 협력 혁신 전면 추진한다 . (2) 과학기술 인재 평가 채용 메커니즘의 개혁을 심화한다 . (3) 기술 이전 및 성과 전환 메커니즘을 부단히 완비한다 . (4) 과학기술 자원 배치 방식 개혁을 추진한다 . 5. 과학기술 인재 그룹 및 혁신 문화 건설 (1) 우수 과학기술 인재 그룹 강화한다 . (2) 과학기술 혁신과 인재 배양간에 융합을 추진한다 . (3) 혁신 문화 적극 배양한다 . (4) 과학연구 성실 신의 학풍을 조성한다 . (5) 과학보급 업무를 적극 전개한다 . 6. 대학교 혁신 시스템 건설 (1) 기초연구 및 공유 기술 연구개발 시스템을 구축한다 . (2) 수준 높은 인재 육성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 (3) 서비스 업계 산업 및 지역 발전 시스템을 건설한다 . (4) 과학기술 관리 체계를 건설한다 . 7. 대학교 혁신 계획 (1) 국가 중대 과학기술 계획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 (2) 대학교 혁신능력 제고 계획을 실천한다 . (3)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를 건설한다 . (4) 중점 과학기술 프로젝트를 시행한다 . (5) 과학기술 개혁 시범 프로젝트를 일괄적으로 추진한다 . 8. 보장 조치 (1) 과학기술 투입을 강화한다 . (2) 중대 과학연구 플랫폼 건설 및 자원 공유를 강화한다 . (3) 대학교 과학기술 업무의 특색 있는 성장을 유도한다 . (4) 지방 대학교 과학기술 혁신 업무를 강화한다 . (5) 과학기술 관리 및 서비스 수준을 강화한다 . 끝 gt; |